학술논문
헤리티지 아카이브의 개념적 이해
이용수 17
- 영문명
-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eritage Archive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임종철(Jong Chul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3호, 85~1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동안 기업 등의 조직에서 아카이브를 통한 마케팅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시도는 종종 있어 왔으나, 조직의 역사 전체에서 어떤 것을 아카이빙하고, 마케팅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드물었다. 이런 이유로 히스토리 마케팅은 과거 지향이며, 담당자의 인적 역량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기업 등의 조직에서 아카이브를 도입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헤리티지 아카이브는 기업의 다양한 헤리티지/유산 중 가치 있는 것을 자산화하고 이를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기록으로 설명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신뢰의 기반으로 삼아 마케팅, 브랜딩 등으로 연계하는 활용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의 어포던스, 조직 헤리티지, 헤리티지 에셋 등의 개념을 정의, 해석함으로써 헤리티지 아카이브의 구축, 활용을 위한 기초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프리 여의 어포던스 개념과 존 발머의 헤리티지 개념을 차용하였으며, KS Q ISO 55000:2021과 KS X ISO 15489-1:2016, KS X ISO 30300:2020 에 등장하는 자산의 개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성과를 통해 기업 등 조직에서 헤리티지 아카이브를 도입하고 이를 마케팅, 브랜딩 등에 활용하려 할 때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While there have been ongoing discussions and attempts to utilize archives for marketing purposes in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businesses, there has been a lack of clarity regarding what should be archived and what should be considered as marketing targets within an organization’s history. Consequently, historical marketing has often been past-oriented, with results varying significantly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those in charge. To introduce and effectively utilize archives in organizational settings, it is crucial to demonstrate that archives can positively impa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Heritage Archives is a utilization plan that offers an approach to digitizing and preserving the valuable heritage and assets of a business, explaining them to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records, serving as a foundation for building trust in the business, and linking them to marketing, branding, and other appl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fundamental concepts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heritage archives by defining and interpreting key concepts such as the affordance of records, organizational heritage, and heritage assets. To this end, the study incorporates Geoffrey Yeo’s affordance and John M.T. Balmer’s concept of heritage. In addition, it compares definitions of assets in KS Q ISO 55000:2021, KS X ISO 15489-1:2016, and KS X ISO 30300:2020. Through the study’s findings, insights can be obtained for organizations seeking to implement heritage archives and leverage them for marketing, branding, and related purposes.
목차
1. 서론
2. 기록의 어포던스에 대한 이해
3. 조직 헤리티지와 헤리티지 에셋
4. 헤리티지 아카이브의 개념적 이해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