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麗時代 중원지역 寺院 출토 茶器와 茶 文化

이용수 34

영문명
The Tea Utensils and Tea Culture Unearthed from Temples in the Jungwon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나상철(Sangchul Na)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9집, 154~17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원지역은 현재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하고 남한강 주변의 일부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그리고 중원지역의 중심에는 이 지역을 하나로 묶어주는 남한강이 흐르고 있다. 특히, 고려 시대에 남한강은 교통로와 조운로로써 중요한 기능을 하였 다. 따라서 남한강 유역과 그 주변 지역에는 많은 사원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들 사원은 종교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치적, 공공적, 오락적 기능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차 문화는 사원이 이러한 여러 가지 기능과 역할을 할 때 자연스럽게 함께 향유 되었다. 중원지역의 차 문화는 남한강이라는 교통로와 고려 왕실 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차 문화의 수용과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당나라의 자다법이 사용되었으나, 고려 중기 이후에는 송나라의 점다법이 애용되면서 차 문화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차 문화의 변천은 중원지역 사원 에서 출토된 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원지역 사원에서 출토 되는 다구로는 청자잔, 청자주자, 청자잔탁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중국 자기제 다구도 다수 발견된다. 특히, 건요계 흑유완의 출토는 중원지역에서 점다법이 애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러한 중원지역 차 문화의 발전과 변화는 남한강이라는 교통로를 통해 중국의 문화가 신속히 유입되고 고려 왕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e Jungwon region currently centers around Chungcheongbuk-do, and includes parts of Gyeonggi-do and Gangwon-do around the Namhan River. At the heart of the Jungwon region is the Namhan River, which unites the area. Particularl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Namhan River served as a major transportation and shipping route. Many temples were situated along the river and in its vicinity, which played various roles including religious, political, public, and recreational functions. As these temples performed these diverse roles, the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naturally flourished alongside. However, the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evolved more rapidly compared to other areas, due to its connection with the Namhan River as a transportation route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court. Initially, the Tang Dynasty’s “zha” tea preparation method was used, but from the mid-Goryeo period, the Song Dynasty’s “dian” tea preparation method was adopted, marking a significant shift in tea culture. This transition in tea culture can be confirmed through ceramics excavated from temples in the Jungwon region. The tea utensils founded in this region include celadon cups, celadon teapots, and celadon tea dishes, as well as numerous Chinese-made ceramics. Notably, the discovery of black-glazed bowls from the Jian kilns provides important evidence of the prevalence of the “dian” tea preparation method in the Jungwon regio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wift influx of Chinese culture through the Namhan River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court.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원지역에서 남한강이 가지는 의미
Ⅲ. 高麗時代 寺院의 기능과 남한강 유역의 寺院
Ⅳ. 중국 茶法과 茶具를 통해 본 高麗時代 중원지역 茶 文化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상철(Sangchul Na). (2024).高麗時代 중원지역 寺院 출토 茶器와 茶 文化. 호서고고학, (), 154-178

MLA

나상철(Sangchul Na). "高麗時代 중원지역 寺院 출토 茶器와 茶 文化." 호서고고학, (2024): 154-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