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지혜와자비명작세미나>를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on Learn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선(Eunsun Go) 장미란(Miran Ch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5호, 231~2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4년 1학기에 팀기반학습 교수법으로 개편하여 운영된 공통교양 <지혜와자비명작세미 나>교과목의 수업활동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과 문제해결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혜와자비명작세미나>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에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 이 학습몰입과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팀기반학습 수업활동이 학습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팀기반학습 수업활동에 잘 적응할수록, 학습몰 입과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편된 수업운영에서 가장 큰 변화의 하나가 첫 단계인 학습준비도인데, 이 과정이 이후의 발제주제 발표와 토론의 팀활동을 수행하는 데에 학습몰입과 문제해결력이 향상되고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견인하는 데에 한 몫을 하였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명작도서를 읽어야 하는 기간의 부족과 학습준비도 평가 부담으 로 명작도서 이해를 위한 몰입 방해, 팀원 간의 소통과 협력의 어려움으로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 족도 저하 우려, 팀활동 관련 과제 수행의 범위와 비중 확대에 따른 개인역량 발휘의 축소 우려 등의 문제를 보완할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common liberal arts course Masterpieces of Wisdom and Compassion Seminar, which was revised and operated using a team-based learning teaching metho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4.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0 to 17, 2024, targeting students who took the Masterpieces of Wisdom and Compassion Seminar,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engagem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engagem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better adaptation to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higher learning engagement, and better problem-solving skills lead to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ents. Additionally, one of the major changes in the revised course operation was the initial step of learning readiness. This process likely contributed to enhancing learning engag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increasing learning satisfaction during the team activities of presenting and discussing topics. However, there is a need to address issues such as the lack of time for students to read the masterpieces, the burden of evaluating learning readiness which hampers immersion in understanding the masterpiec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m members which may lower learning engagement,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cerns about the reduction of individual competence due to the increased scope and weight of team activity-related task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8권 제5호 목차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의 노동시장 성과 측정 연구
- 국내 대학 교양교육 체계에서 인공지능(AI) 교육 특징과 과제 - 디지털 전환기 초·중등교육과정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간 연계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교육과정 융·복합 준거 개발 연구
- 변화하는 시대와 자유교육의 이념
-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의 혁신 방안
- 공익 광고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 대학생 학습자의 인문학적 사고의 확장 및 심화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탐색 - 사고의 능동성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제 발견식 질문하기’ 방안을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 인식 기반 AI 피드백의 효용성 연구
- 실천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과 효과 연구 - A대학의 ‘지역문제의 창의적 해결’ 교과목 사례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고전소설의 재창조 - 『더버빌가의 테스』를 중점으로 교차문화학습
- 교수전담형 학사지도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 균형교양 영역 교과 ‘대학생의 성장을 위한 책과 영상 큐레이션’ 개발 연구
- 대학생의 교양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 - C대학을 중심으로
- 교양 교육과정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D 대학을 중심으로
-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관점에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재탐색
-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지혜와자비명작세미나>를 중심으로
- 사이버대학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양교육 만족도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Student Perceptions of ChatGPT in Mandatory EFL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 기준음고 432Hz의 음악인문학적 의의
- 대학 교양영어에서 강의식 수업과 독서저널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과정 참여 경험에서 학업 저성취 대학생이 지각한 학습 역량 향상 정도
- 아론 코플란드(A. Copland)의 이론을 활용한 대학 교양음악교육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제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