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의 혁신 방안
이용수 101
- 영문명
- Innovation Pla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Future Convergence Talen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안미영(Mi Young Ah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5호, 99~1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미래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양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전공교육이 문제해결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교양교육은 우리 삶에서 문제를 진단할 수 있고, 문제해결의 토대가 되는 기초학문과 학문 능력을 배양할 수 있어야 한다.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의 교양교육 은 다음과 같은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첫째, 융합형 교양 교육과정이 설계되어야 한다. 교양 교육과정이 지닌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각 대학이 지향하는 목표에 맞는 주제 중심의 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둘째,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통해 교양 교과 운영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교양과 교양교육은 앎과 실천을 모두 기르는 것이다. 교양교육의 수행성에 기반하여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 교수학습, 교육평가, 강의 규모, 강의평가에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교육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교양교육은 인문, 사회, 자연에 이르는 문이과 공통의 기초학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을 한 그루의 나무에 비유한다면, ‘뿌리-교양’, ‘꽃-전공’, ‘열매-자기 성취(취업 등)’라는 전체 구도 속에서 학생 성장의 근간이 되는 교양(기초학문)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은 앎과 삶의 괴리를 메워야 한다. 대학이 미래 융합인재 양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공과 교양이 공존해야 한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문제를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가 탄탄해야 한다. 교양교육은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 고, 교양교육의 정체성에 맞추어 교과를 운영해야 한다. 이를 성공리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what change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seek to cultivate future convergent talents. If major educa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problem-solving,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able to diagnose problems in our lives and cultivate basic academic and academic skills that are the basis for problem-solving. In order to cultivate future convergent talents,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should seek the following changes. First, a convergence liberal arts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a thematic convergence curriculum that fits the goals of each university by utilizing the various infrastructure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changes in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subjects through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Liberal arts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 about cultivating both knowledge and practic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changes should be made to the instructors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al evaluation, lecture size, and lecture evaluation. Third,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needed. Liberal arts education consists of common basic studies with liberal arts ranging from humanities, society and nature. If students are compared to one tree, support for liberal arts (basic studies), which are the basis of student growth, is needed in the entire structure of ‘root-culture’, ‘flower-major’, and ‘fruit-self-achievement’ (employment, etc.). Universities must bridge the gap between knowing and living.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perform the function of fostering future convergent talents, majors and liberal arts must coexist. It is important to solve a problem, but you must be able to diagnose the problem beforehand, and the foundation for solving the problem must be solid.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design a convergence curriculum to cultivate future convergent talents and operate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this out,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목차
1. 서론
2.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8권 제5호 목차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의 노동시장 성과 측정 연구
- 국내 대학 교양교육 체계에서 인공지능(AI) 교육 특징과 과제 - 디지털 전환기 초·중등교육과정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간 연계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교육과정 융·복합 준거 개발 연구
- 변화하는 시대와 자유교육의 이념
-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의 혁신 방안
- 공익 광고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 대학생 학습자의 인문학적 사고의 확장 및 심화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탐색 - 사고의 능동성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제 발견식 질문하기’ 방안을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 인식 기반 AI 피드백의 효용성 연구
- 실천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과 효과 연구 - A대학의 ‘지역문제의 창의적 해결’ 교과목 사례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고전소설의 재창조 - 『더버빌가의 테스』를 중점으로 교차문화학습
- 교수전담형 학사지도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 균형교양 영역 교과 ‘대학생의 성장을 위한 책과 영상 큐레이션’ 개발 연구
- 대학생의 교양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 - C대학을 중심으로
- 교양 교육과정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D 대학을 중심으로
-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관점에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재탐색
- 팀기반학습의 수업활동,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지혜와자비명작세미나>를 중심으로
- 사이버대학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양교육 만족도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Student Perceptions of ChatGPT in Mandatory EFL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 기준음고 432Hz의 음악인문학적 의의
- 대학 교양영어에서 강의식 수업과 독서저널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과정 참여 경험에서 학업 저성취 대학생이 지각한 학습 역량 향상 정도
- 아론 코플란드(A. Copland)의 이론을 활용한 대학 교양음악교육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제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