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장 사례를 통한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협상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Crisis Negotiation Through Field Cases : Focused on Interviews with Negotiator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조세희(Se Hee Cho)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3호, 307~3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경찰의 협상은 2010년대를 접어 들면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각 시·도 경찰청 경비부서에서 운영하는 협상팀과 국가수사본부에서 운영하는 경찰서별 협상팀이 활동하며 현장의 초기 대응을 맡고 있다. 경찰 협상팀의 존재가 내·외부적으로 알려지고 협상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현장에서는 협상가의 출동 사례도 증가하고 있고, 경남 합천 인질사건과 강남구 제과점 인질사건 등 에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위기협상에 대한 믿음 부족과 빠른 시간의 해결을 위해 여전히 전술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경찰청은 매년 상·하반기 위기협상 심화과정을 개최하며 전문협상가에 대한 발전을 도모하고, 각 시·도 경찰청은 지방학교를 이용하여 기초협상에 주력하고 있으나 이를 관리하는 지휘자에 대한 교육은 많이 부족하여 소통이 부족하다. 2024년 들어 경찰 교육기관의 교육도 축소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경남 합천 인질 사건 등 위기협상에 직접 참가하였거나 활동하고 있는 학자, 실무자를 중심으로 의견을 분석하여 현장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10s, negotiation practices within the Korean Police Force have seen substantial advancements. Negotiation teams managed by each provincial police department and those at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handle initial responses at scenes. The increased visibility and recognized importance of police negotiation teams have led to more frequent dispatches of negotiation officers and significant successes, such as in the hostage situations in Hapcheo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a bakery in Gangnam District, Seoul. However, a persistent preference for tactical responses over trust in crisis negotiation often dominates on the ground,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s. The National Police Agency conducts in-depth training sessions biannually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negotiators, while provincial police departments focus on basic negotiation training through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Nonetheless, there is a significant shortfall in the training provided to commanders overseeing these operations, resulting in inadequate communication. The reduction of training programs at police educational institutions since 2024 has raised concer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opinions from scholars and practitioners who were directly involved in or active in crisis negotiations, such as the 2017 Hapcheon hostage incident, to identify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 the field and suggest potential impr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국내 주요 위기협상 사례 분석
Ⅳ. 현장 협상가들의 문제점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세희(Se Hee Cho). (2024).현장 사례를 통한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협상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 (3), 307-330

MLA

조세희(Se Hee Cho). "현장 사례를 통한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협상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3(2024): 307-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