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언어적 통제 교육의 효과성 연구: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용수 21
- 영문명
- Effect of Verbal Control Training on the Democratic Policing Paradigm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명호(Myoung Ho Park) 김승현(Seu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3호, 53~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적 통제는 경찰과 시민의 갈등 상황에서 시민의 행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신체적 물리력은 필연적으로 시민을 제압하고 갈등 상황을 봉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데 반해, 대화를 수반한 언어적 통제는 시민 스스로 갈등 상황을 종결짓는 것을 가능케 한다. 언어적 통제는 필수적인 현장 대응 역량이기에, 경찰인재개발원은 일선 경찰관을 대상으로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경찰인재개발원의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어적 통제 교육이 경찰의 민주적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교육생의 민주적 경찰활동에 대한 의지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경찰 대상자의 행태 또는 법 위반 수준에 따른 차별적인 법 집행 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 참여 전후로 설문을 진행하고 종단적 관점에서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 이론적 토대에 기반하여 이를 해석했다는 점에서 학술 가치가 있다. 향후 경찰조직 내 대화와 언어적 통제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이를 기반으로 민주적 경찰활동 패러다임이 확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Verbal control is the only means of changing citizens' behavior without conflict between police and citizens. While the police force inevitably aims to suppress citizens and seal the conflict, verbal control with conversation makes it possible for citizens to end the conflict independently. Since verbal control is essential for police, the National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operates a training program for front-line police officer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verbal control training on police democratic policing based on the verbal control training program of the National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the verbal control training increased the overall willingness for democratic policing. In particular,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discriminatory perception of law enforcement based on the behavior of police subjects or the level of law violations. This study is of academic value becau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a verbal control training program,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and interpreted it theoretically. It is hoped that the importance of dialogue and verbal control within police organizations will be improved, and a democratic police activity paradigm will spread based on th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정심판법상 간접강제 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 「사립학교법」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괴리에 관한 고찰: 징계사유조사와 징계의결요구를 중심으로
- 고위직 경찰공무원 필요역량 분석
- 뉴욕경찰청의 알고리즘 예측치안 전략의 논쟁점
- 교정시설의 지역사회 수용태도의 영향 요인
- 사회약자층 안전도 제고방안 : 민간-경찰 협력시스템을 중심으로
-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언어적 통제 교육의 효과성 연구: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경찰의 바디캠 사용에 대한 연구: 시민 폭언 및 공정한 법집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군사경찰의 대테러 위기 협상 발전방안
- CPTED사업을 위한 솔라표지병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군 병사의 부대 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 경찰 효과성 측정 및 타당성 연구
- 청원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LMX를 중심으로
- 현장 사례를 통한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협상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