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 효과성 측정 및 타당성 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Measurement and validity study on police effectivenes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정재훈(Jaehoon Jung) 이강훈(Kanghoon Lee) 김소영(Soye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3호, 259~2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절차적 정의 이론의 주요 변수 중 하나인 경찰 효과성이 어떻게 측정되는지 확인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경찰 효과성은 경찰이 범죄를 성공적으로 억제하고 해결하는지를 보여주는 도구적 수단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경찰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경찰에 협력하려는 의사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다만, 종속변수인 경찰협력에 미치는 경찰 효과성의 영향력은 절차적 공정성이나 경찰 정당성과는 달리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경찰 효과성 변수를 중심으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Sunshine & Tyler(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번안·수정하여 그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2022년 10~11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통해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활용한 8개 문항은 경찰 효과성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찰 효과성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한국에서 통일된 기준 문항을 제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시민들이 인식하는 경찰활동의 성과는 경찰활동의 분야별로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세부 기준을 마련함은 물론, 향후 반복 검증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문항의 추가 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validate how police effectiveness, one of the key variables in procedural justice theory, is measured. Police effectiveness is an instrumental measure of whether the police are successful in deterring and solving crime, and some research suggests that the more positively citizens perceive police effectiveness, the more willing they are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However, unlike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legitimacy, the effect of police effectiveness on the dependent variable, police cooperation, is not consisten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centered on the police effectiveness variable, and revised and modified the items used in Sunshine & Tyler(2003)'s study to verify their validity. The results of a survey of 539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with Korean nationality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were used in the study, and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ight items used in the study are appropriate tools for measuring police effectiv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alidated the validity of a police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presented a unified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 Korea,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ts utiliz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erformance of police activities as perceived by citizens is likely to differ by the field of police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criteria to appropriately measure it, as well as to conduct future studies such as repeated valid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items with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훈(Jaehoon Jung),이강훈(Kanghoon Lee),김소영(Soyeong Kim). (2024).경찰 효과성 측정 및 타당성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 (3), 259-282

MLA

정재훈(Jaehoon Jung),이강훈(Kanghoon Lee),김소영(Soyeong Kim). "경찰 효과성 측정 및 타당성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3(2024): 259-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