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군 병사의 부대 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Validation Study of the Troop Adjustment Scale in Military Soldiers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전창영(ChangYoung Jeon) 이승현(SeungHyun Lee) 박종승(JongSe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3호, 171~19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군 병사들의 부대 적응과 관련된 정책이 시행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부대 적응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 사용된 Stouffer 등(1949)이 개발하고 이윤희(1963)가 번역한 후 신태수(1981)가 한국 군에 맞게 수정한 부대 적응 척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존 26개 문항에서 10개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수정된 16개 문항을 모두 사용하였을 때 신뢰도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 문항들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수정된 한국 군 병사의 부대 적응 척도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척도는 기존의 척도와 같이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심신상태와 임무수행 의지, 직책과 직무만족 세 항목은 기존 척도와 동일하였으나, 기존의 마지막 요인인 군 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의 경우 타당도 분석을 통해 삭제된 문항을 제외하고 문항들을 검토한 결과 조직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보다는 군 간부에 대한 인식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부대 적응과 관련된 척도의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군 병사를 대상으로 경험적으로 부대 적응 척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부적절한 문항들을 삭제하고 현재의 군 상황에 맞는 척도를 수정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urately measure the extent of unit adjustment in a context where policies related to unit adjustment of military personnel are being implemented and interest in unit adjustment is high.
To this end, the suitability of the unit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Stouffer et al. (1949), translated by Lee Yoon-hee (1963), and modified by Shin Tae-soo (1981) for the Korean militar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removed from the original 26 items, and based on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reliability value was highest when all 16 modified items were used. Nex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items to present the revised Korean Army Soldiers' Unit Adjustment Scale.
The scale was composed of four subfactors as in the original scale. Three of the items,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willingness to perform duties, and job 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the same as the original scale, but for the last factor, attitude toward the military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items were reviewed with the exception of the items that were deleted through the validity analysis,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appropriate to have one factor consisting of perceptions of military officers rather than overall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validated the unit adaptation scale with military soldiers in a situation where validation of scales related to unit adaptation is lacking,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deleted inappropriate items and revised the scale to fit the current military sit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정심판법상 간접강제 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 「사립학교법」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괴리에 관한 고찰: 징계사유조사와 징계의결요구를 중심으로
- 고위직 경찰공무원 필요역량 분석
- 뉴욕경찰청의 알고리즘 예측치안 전략의 논쟁점
- 교정시설의 지역사회 수용태도의 영향 요인
- 사회약자층 안전도 제고방안 : 민간-경찰 협력시스템을 중심으로
-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언어적 통제 교육의 효과성 연구: 언어적 통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경찰의 바디캠 사용에 대한 연구: 시민 폭언 및 공정한 법집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군사경찰의 대테러 위기 협상 발전방안
- CPTED사업을 위한 솔라표지병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군 병사의 부대 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 경찰 효과성 측정 및 타당성 연구
- 청원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LMX를 중심으로
- 현장 사례를 통한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협상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