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용수 66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Changes and Suicidal ideations experienced by the Adolesc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 Data from the 2021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춘화(Chun Hwa Ju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4호, 161~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자살 예방과 관련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 분석을 통해 총 54,848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상생활 변화는 신체활동, 아침 결식, 음주, 흡연, 우울, 스트레스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살생각은 성별, 학교급, 학업성적, 경제 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불안, 12개월 동안 2주 이내에 슬픔과 절망 경험, 자살계획, 자살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자살생각의 관계는 감소를 기준으로 신체활동의 증가(OR=1.118, p<.01)와 변화 없음(OR=1.163, p<.001), 아침 결식은 변화 없음(OR=.905, p<.05), 음주 증가(OR=1.664, p<.001), 우울의 증가(OR=2.536, p<.001)와 변화 없음(OR=.847, p<.05), 스트레스는 매우 높음(OR=21.653, p<.001), 높음(OR=8.443, p<.001), 보통(OR=2.716, p<.001)에서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가 자살생각의 유의미한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스트레스가 자살의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여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여 대처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change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detect mental health issues early and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uicide prevention. Method: The study utilized secondary analysis of raw data from the 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with a total sample of 54,848 participants. Changes in daily life were categorized into six items: physical activity, breakfast skipping, drinking, smoking,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2.0, including frequency, cros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icidal ide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gender, school level, academic performanc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anxiety, experiences of sadness and despair within the past 12 months, suicide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aily life and suicidal ideations among adolescen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a decrease, an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OR=1.118, p<.01) and no change(OR=1.163, p<.001), no change in skipping breakfast(OR=.905, p<.05), an increase in drinking(OR=1.664, p<.001), an increase in depression(OR=2.536, p<.001) and no change (OR=.847, p<.05), and high levels of stress(very high: OR=21.653, p<.001; high: OR=8.443, p<.001; moderate: OR=2.716, p<.001)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uicidal ideations. Conclusion: Changes in daily life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have been identified as a significant related factor in suicidal ideations, and stress is a major variable in suicide, so education to identify and cope with stress factors early is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의 합리적 역할방안 정립에 관한 논의 - 형사정책적 방안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이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10 CMM RTO 시스템의 안전설계 및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모바일서비스시뮬레이터 구현 - 10 CMM RTO 설계정보 기반의 모바일서비스시뮬레이터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종합병원의 환자안전사고 위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TO의 실시간 정보수집을 위한 Edge-IoT 시스템 구현 : IoT Data 수집을 위한 아키텍쳐 구현
- 공적기관에 의한 이주민 차별표현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 수요 증가의 탐색적 관점에서
- 다중이용시설에서 안전관리가 안전보건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무기체계 全 수명주기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 긍정 간호조직문화가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안전태도와 안전동기의 직렬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플립드 러닝환경에서 온·오프라인수업의 질에 대한 인식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콘크리트 양생 중 하중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지능형 동바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생태관광에 대한 소비자 가치가 관광지 방문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자이언트판다 보호구역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소비자의 MBTI 성격유형별로 추천된 제품이클릭의도에 미치는 영향: MZ세대를 중심으로
- 지속가능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소비자 유형화와 식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