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이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

영문명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o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판희(Pan Heui Kim) 김영미(Young Mi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4호, 51~6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학습자기효능감 및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총 158명이며, 자료수집은 2024년 3월 4일부터 4월 31일까지 구글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점수는 평균 3.91±0.32점(5점 만점), 학습자기효능감 점수는 평균 6.04±0.69점(7점 만점),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 점수는 5.0±0.57점(6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은 비판적 사고 성향(r=.51, p<.001)과 학습자기효능감(r=.70,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r=.54, p<.01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은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53%(F=56.87, p<.001)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와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Method: A total of 158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college located in K-do were studied, and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questionnaire from March 4 to April 31,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e was 3.91±0.32 (out of 5 points), learning self-efficacy score was 6.04±0.69 (out of 7 points), and th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score was 5.0±0.57 (out of 6 point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1, p<.001) and learning self-efficacy (r=.70, p<.001),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r=.54, p<.011). It was found that 53% (F=34.13, p<.001) had explanatory power for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th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판희(Pan Heui Kim),김영미(Young Mi Kim). (2024).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이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51-62

MLA

김판희(Pan Heui Kim),김영미(Young Mi Kim).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습자기효능감이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4): 5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