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론적 정합성 관점에서 분수의 연산 단원 분석: 의미 관계와 수량 유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20
- 영문명
- An Analysis of Fraction Operation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Semantic Alignment: Focusing on Semantic Relations and Quantity Type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희(Nahee Kim) 장혜원(Hyewon Chang)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6권 제3호, 315~3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적 개념은 실세계의 여러 상황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실세계에서의 의미와 수학적 의미가 서로 관련될 때 수학적 개념의구성 및 활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문제 상황에 제시된 대상 간의 의미 관계와 잠재적인 수학적관계가 의미론적으로 정합한가의 여부가 연산 해석과 사용의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분수 연산 단원에제시된 문제 상황 속 대상 간의 의미 관계와 대상과 시각적 모델의 수량 유형 및 양자 간의 의미론적 정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 상황 속 대상의 의미 관계의 경우 분수의 덧셈에서는 대칭 관계, 분수의 뺄셈에서는 하위집합-집합 관계, 분수의 곱셈과나눗셈에서는 비대칭 관계의 제시 비율이 높았다. 수량 유형 측면에서 연속량인 대상의 제시 비율이 이산량보다 높았으며, 대부분대상과 시각적 모델의 수량 유형이 일치하였으나 일부 문제는 불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의미에 적합하고 수학학습심리 차원에서 학생의 이해를 독려하는 문제 상황과 교수 모델을 선정하기 위한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Mathematical concepts are derived from real-world situations, and their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can be facilitated when real-world meanings and mathematical meanings are aligned. According to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the depth of interpretation and use of operations depend on whether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objects presented in the problem situation and the potential mathematical relations are consistent. This study analyzed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objects in problem situations and the semantic alignment between the quantity types of objects and visual models in the fraction operation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problem situations, symmetric relationships were predominantly presented in fraction addition, subset-set relationships in fraction subtraction, and asymmetric relationships in f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Regarding quantity types, continuous quantities were presented more often than discrete ones, and in most cases, the quantity type of the object matched that of the visual model, though a few did no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rawn for selecting problem situations and instructional models that align with mathematical meanings and support student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learning psycholog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둥’과 ‘뿔’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 분석
- 학교수학 제26권 제3호 목차
- 의미론적 정합성 관점에서 분수의 연산 단원 분석: 의미 관계와 수량 유형을 중심으로
- 지수함수 미분법의 정당화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수학 내용 지식과 인식
- 고등학교 수학교사의 디지털·AI 교육과정 실천 사례: 생태학적 교사 행위주체성에 기반한 탐색
- 교과서의 치환적분 단원의 문제해결에서 고등학생들의 정리와 기호의 활용 방식 조사
- 수학의 아름다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 동적 토픽 모델링(DTM)을 활용한 국내 수학교육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