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융자본주의 사회의 자본, 프레카리아트의 영화적 재현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capital and precariat in the society of financial capitalism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김선형(Sunhyung Kim)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2호,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는 사회를 비추고 사회는 영화를 비춘다. 영화가 시작된 지 130년을 바라보는 지금, 필름 영화, 디지털 영화, 그리고 OTT 체제까지, 영상 문화는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영화학의 수많은 담론을 생산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사회와 밀접한 예술 매체라는 것, 좀 더 많은 대중에게 다가가 있는 예술이라는 점, 그리고 사회를 바라보고 사회를 적극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상상과 가상의 세계를 이미지로 현전화 하는 것 또한 영화의 고유한 능력이겠으나 영화는 현실사회의 재현에 나태한 적이 없었다. 오히려 보이지 않는 현실 세계의 내부까지도 보여주려 고군분투 해 왔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다. 특히 최근 들어 경제 체제를 적극적으로 발화하는 다수의 영화들을 목격한다. 그러나 아직 경제를 다루는 영화들에 대한 영화학적 접근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함께 현 사회의 구조와 현상에 영향을 미친 ‘금융자본주의와 프레카리아트’, 이를 심중한 태도로 다루는 <화차>와 <미안해요, 리키>를 분석한다. 수사학의 힘으로 주체 아닌 주체가 된 현대 사회 프레카리아트들의 삶의 내부와 금융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이 낳은 극심한 빈부격차, 그리고 부채문화를 장려하는 사회를 영화 서사와 미학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이들 영화를 ‘사회문제영화’로 범주화하고, 사회와 영화(문화)의 관계성, 더 나아가 사회에 지대한 영향력을 갖는 문화매체로서의 영화의 역량을 확인한다.

영문 초록

Film reflects society and society reflects film. Over the course of 130 years of film history, we have witnessed the evolution of media culture from film to digital to OTT platforms, which have generated extensive discourse in film theory. Despite these significant changes, the essence of film remains unchanged: it is closely intertwined with society, serving as an art form readily accessible to the public. Film actively examines and meticulously represents society on screen, possessing a unique ability to embody imaginary and virtual worlds, while also striving to represent our real world and explore its hidden facets.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films exploring the economy.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these films has been somewhat limited due to the inherent complexity of the subject matter. This paper aims to analyze “Helpless” and “Sorry, we Missed You” with grave concern. These films tackle the issue of ‘financial capitalism and the precariat’, exert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phenomena of contemporary society. This research delved into the lives of the precariat suffering from debt and rhetorics, which are cunning devices created by financial capitalism. Lastly, this paper proposes that these films can be categorized as “social problem films” that raise awareness about societal issues and spark changes in society.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profound connection between film(as a cultural medium) and society, thereby affirming the impact of film on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금융자본주의 사회, 그리고 프레카리아트 계급
Ⅲ. 금융제도와 프레카리아트의 영화적 재현
Ⅳ. 영화가 드러내는 경제 체제, 그 함의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형(Sunhyung Kim). (2024).금융자본주의 사회의 자본, 프레카리아트의 영화적 재현 연구. 문화경제연구, 27 (2), 127-156

MLA

김선형(Sunhyung Kim). "금융자본주의 사회의 자본, 프레카리아트의 영화적 재현 연구." 문화경제연구, 27.2(2024):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