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업장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향상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 of a safety awareness level improvement program to promote workplace safety cultu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나민오(Min Oh Na) 최윤석(Yoon Seok Choi) 최원창(Won Chang Choi)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3호, 65~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업현장의 중대재해를 실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장의 자기규율 체계를 확립하고 안전문화를 내재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업장의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하고 안전문화 활동을 촉진하는 것은 정부의 책무이다. 본 연구는 사업장의 자율적 안전문화 활동을 촉진하고자 정부에서 개발한 사업장 안전문화 진단 지표와 하위요인를 소개하고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진단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업주는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구성원의 안전가치, 안전운영, 안전교육, 안전소통의 영역별로 계획, 실행, 점검, 개선의 활동 수준에 대한 계층별 인식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수준이 낮은 영역의 안전문화 활동을 촉진하거나 구성원 간 인식 차이가 높은 영역의 원인을 탐색하여 개선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한편 사업장의 안전의식 수준 향상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의 자기규율 예방체계와 연계한 안전문화 진단을 활성화할 것, 안전문화 등급 인증제를 도입하고 민간 전문가를 육성하여 컨설팅을 지원할 것, 선행지표와 연계한 우수 활동을 발굴하여 전파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과 사업 수립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o effectively reduce industrial accidents, workplaces must be encouraged to undertake safety initiatives independently and establish a strong safety culture. This study introduces leading indicators and a safety culture model developed to assess the safety awareness levels among workplace members. By diagnosing these levels, it becomes possible to promote activities in areas where safety awareness is lacking. Additionally, areas with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members can be improved by investigating the underlying causes.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in the workplace necessitates the promotion of improvement activities based on diagnostic results. This study proposed several tasks to raise safety awareness in workplaces. These tasks include activating safety culture diagnosis in connection with the corporate self-regulation system, introducing a safety culture grade certification system, training private experts, supporting workplace consulting, and discovering and disseminating best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향상 프로그램의 구성과 활용 방법
Ⅳ. 사업장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업장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향상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 해양 사고 안전을 위한 면상발열체 기반의 위치추적 복합기를 구비한 융합 웨어러블슈트 구현 - 저체온과 저온 화상 방지를 위한 융합 웨어러블 슈트
- 국제 비교를 통한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수준 분석
-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수원특례시 노인복지시스템 구축 연구
- 분전반, 배전반 등에 사용하는 질산칼륨 기반의 소공간 소화장치의 성능에 관한 기초 연구 - 소화메커니즘 및 A급 소화성능을 중심으로
- 북유럽 출소자의 갱생보호 프로그램 동향
- 지속가능한 도시로서의 스마트 도시재생을 위한 리질리언스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상담사의 범죄경력 가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정치인 테러양상과 요인경호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