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수원특례시 노인복지시스템 구축 연구
이용수 270
- 영문명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won Special City Elderly Welfare System using digital healthca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상윤(Sang Yun Cho) 오봉욱(Bong Yook Oh)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3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수원특례시 역시 2030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노인의료, 복지 분야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 또한 2019년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비대면 진료가 중심이 되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검토를 통한 선행연구와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수원특례시에 맞는 노인복지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 결과 선진국에서는 주로 미국과 일본, 이스라엘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가 발달돼 왔다. 특히 넓은 대지로 인해 일찍부터 비대면 원격진료를 추진해온 미국은 민간기업 중심으로 사업이 발달했으나 규제 완화 등 정부의 지원도 뒷받침돼 일찍이 디지털 헬스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원격의료행위 규제, 핵심 불분명 등의 문제점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발전에 한계가 있다.
게다가 전문가 그룹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수원특례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관계자들은 사업 참여의 부정적 요인으로 시스템 앱의 오류, 어려운 입력 방식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적했다. 따라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자가건강관리가 활발히 이뤄지려면 사업 대상자의 올바른 이해와 참여뿐만 아니라 정부의 민간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The pace of aging in Korea is the highest in the world, and Suwon City is also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in 2030, so preparations for the medical and welfare sectors for the elderly are urgent. In addition, interest in digital healthcare, which focuses on non-face-to-face treatment, has in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crisis in 2019. In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plan to build an elderly welfare system for Suw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literature survey, in developed countries, digital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U.S., Japan, and Israel. In particular, the U.S., which has been promoting non-face-to-face telemedicine since early on due to its large land area, has developed a business centered on private companies, but has also been able to grow into a digital health powerhouse due to government support such as deregulation. In Korea,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has been limited due to problems such as the regulation of telemedicine practices and unclear co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t group interviews, those involved in the mobile healthcare project at the Suwon City Health Center pointed out errors in the system app and difficult input methods as the main factors for negativ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r self-healthcare through digital healthcare to be active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right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the project targets, but also for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사업 해외 사례
Ⅳ.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노인복지시스템 구축 현황
Ⅴ.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노인복지시스템 구축 방안
Ⅵ. 고령화 사회, 지역사회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방안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업장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향상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 해양 사고 안전을 위한 면상발열체 기반의 위치추적 복합기를 구비한 융합 웨어러블슈트 구현 - 저체온과 저온 화상 방지를 위한 융합 웨어러블 슈트
- 국제 비교를 통한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수준 분석
-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수원특례시 노인복지시스템 구축 연구
- 분전반, 배전반 등에 사용하는 질산칼륨 기반의 소공간 소화장치의 성능에 관한 기초 연구 - 소화메커니즘 및 A급 소화성능을 중심으로
- 북유럽 출소자의 갱생보호 프로그램 동향
- 지속가능한 도시로서의 스마트 도시재생을 위한 리질리언스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상담사의 범죄경력 가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정치인 테러양상과 요인경호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