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유의 관계 감탄사의 비교 분석 -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73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jectional Synonyms in Spoken Language Corpus: Focused on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Interjections ‘eo’ and ‘eung’
발행기관
한국어교육연구학회
저자명
한승규(Seung kyu Han)
간행물 정보
『한국어 교육 연구』제22호, 235~25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감탄사 ‘어’와 ‘응’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1세기 세종계획 연구·교육용 현대국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감탄사 ‘어’와 ‘응’의 사용 빈도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구어와 문어 자료를 비교하고 각 장르별로 감탄사의 사용 양상을 살폈다. 연구 결과, 두 감탄사는 대화에서 청자 반응 표시와 긍정적 대답으로 주로 사용되며 '어'는 감정 표현에 더 자주 사용되고 '응'은 화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데 더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는 감탄사가 대화의 상호작용과 흐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감탄사의 선택과 사용이 상황의 격식성과 의사소통의 맥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실제 언어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구어 중심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s of Korean exclamations ‘eo’ and ‘eung’ in spoken corpus.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are predominantly used for listener response signals and affirmative answers within dialogue. ‘eo’ is more frequently used for emotional expressions, while ‘eung’ is more common for indicating speaker's i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clamat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interaction and flow in conversation. Additionally, the selection and use of exclamations are closely tied to the formality of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based on actual language use data, providing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focused on spoken languag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감탄사 ‘어’와 ‘응’의 의미
3. 감탄사 ‘어’, ‘응’의 용법
4.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 비교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규(Seung kyu Han). (2024).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유의 관계 감탄사의 비교 분석 -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 (), 235-253

MLA

한승규(Seung kyu Han).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유의 관계 감탄사의 비교 분석 -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 (2024): 235-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