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던’,‘-았/었던’을 중심으로
이용수 162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Recollection Expressions Using Webtoons: Focusing on‘-teon’and‘-ass/eossten’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태환(Tae H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2호,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기 어려워하는‘-던’과‘-았/었던’을 효과적으로 교수 학습하기 위하여 웹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의 웹툰의 유용성에 대해 살피고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나는‘-던’과‘-았/었던’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웹툰을 활용하여 과거 회상 표현을 나타내는 10가지 장면을 만들고 26명의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거 회상 표현 중‘-던’과‘-았/었던’사용에 대한 연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설문과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던’과‘-았/었던’을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특히‘-던’을 사용하는 데 오류가 많다는 사실을 밝히고 과거 회상 표현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던’과‘-았/었던’의 교수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과제 기반 모형(TTT)으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의 한국어 교육적 유용성을 밝히고‘-던’과‘-았/었던’을 교수 학습하는 방안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교육 자료와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시한 교수 학습 모형을 실제 수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것은 한계점이다. 본 연구 이후에도 한국어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teon’and‘-ass/eossten’, which learners of Korean often find difficult to use, by utilizing webto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usefulnes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s the appearances of‘-teon’and‘-ass/eossten’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dditionally, ten scenes depict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ere created using webtoons, and a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26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Korean learners on the use of ‘-teon’ and ‘-ass/eossten’ i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findings reveal that Korean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teon’and‘-ass/eossten’and particularly make many errors in using‘-teon’. Furthermore, the usefulness of utilizing webtoons in teach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teon’ and‘-ass/eossten’using webtoons and suggests a task-based teaching model (TTT)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benefit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teon’and‘-ass/eossten’using webtoons.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abil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aching model through actual classroom appli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the use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기존 논의 검토
3.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사용 조사
4. 연구 조사 결과 분석
5. 웹툰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 속 다문화 가정의 고정관념 분석 - ‘외국인 며느리 니퉁의 인간 극장’을 중심으로
- 주제를 활용한 글의 구조화 방법
-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던’,‘-았/었던’을 중심으로
- 비대면 언어 교환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사례 연구
- 교착어적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문법교육 연구 - 서울대 한국어 초·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 TV방송과 유튜브의 상대 높임 사용 양상 비교 - 토론 매체에서의 ‘합쇼체/해요체/해체’를 중심으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비교 고찰
- 미국 한글학교의 현황과 당면과제
-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유의 관계 감탄사의 비교 분석 -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