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비교 고찰
이용수 6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for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다은(da 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2호, 149~17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의 다섯 개 대학교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을 대상으로, 한·중 속담의 유형과 의미를 비교하여 고찰해 보았다.
먼저 한중 속담 비교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의 다섯 개 대학교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속담의 현황을 정리하였고, 속담의 유형과 의미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속담을 표현형식과 의미에 따라 동형동의(同形同義), 이형동의(異形同義), 동형이의(同形異義), 한국문화 특유의 속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한국어 속담에 대응하는 중국어 속담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속담을 유형 별로 예를 들어 한·중 속담의 구체적인 의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통점과 적지 않은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끝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마무리하였다.
이처럼 한·중 속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속담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examine Korean and Chinese proverbs in both form and meaning by focusing on the proverbs published in five Korean textbooks by fiv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objective and need for comparative research o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Then, it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roverbs in five, published Korean textbooks by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the forms, meanings of the proverbs. After dividing the proverb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meanings: same character & same meaning, different character & same meaning, same character & different meaning, and uniqueness to Korean culture, Chinese pro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proverbs were presented.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ecific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proverbs, for example, proverbs by type.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and Chinese proverbs and found that there were similar and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Finally, The conclusion was presented and conclude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imilar and different featur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efforts, hoping to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Chinese learners to acquire and utilize proverbs.
목차
1. 서론
2. 한·중 속담 비교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 속 다문화 가정의 고정관념 분석 - ‘외국인 며느리 니퉁의 인간 극장’을 중심으로
- 주제를 활용한 글의 구조화 방법
-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던’,‘-았/었던’을 중심으로
- 비대면 언어 교환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사례 연구
- 교착어적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문법교육 연구 - 서울대 한국어 초·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 TV방송과 유튜브의 상대 높임 사용 양상 비교 - 토론 매체에서의 ‘합쇼체/해요체/해체’를 중심으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비교 고찰
- 미국 한글학교의 현황과 당면과제
-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유의 관계 감탄사의 비교 분석 - 감탄사 ‘어’, ‘응’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