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學生 主導的 學習을 위한 敎室 授業 事例 硏究 : 漢字ㆍ漢字語 指導 戰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on examples of classroom instruction - focusing on teaching strategies to Chinese character. Chinese vocabulary as the center figur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白光鎬(kwang-ho Baek)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호, 149~1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授業’은 敎師와 學生이 다양한 환경 아래에서 상대방의 범언어적인 행동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며, 相互 作用을 하는 공동 작업 과정이다.
이 글에 소개된 『협동적 학습을 위한 45가지 교실 수업 전략(Classroom Strategies for Interactive Learning)은 미국의 한 特別敎師(일종의 장학사)가 저술한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교실 수업의 가장 큰 문제점을 ‘敎師와 學生의 疏通의 不在’라고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著者는 다양한 수업 전략을 소개하면서 그 전략을 필요로 하는 교실 수업 환경, 각 수업 전략에 대한 학문적 배경과 근거, 구체적인 사용 절차와 방법, 교사의 역할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 책의 전략 가운데 漢字ㆍ漢字語를 지도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골라 소개하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전략을 응용한 漢文科 授業 事例를 소개하였다.
‘敎室’은 교사와 학생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다. 授業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연구하는 교과 교육 분야에서 ‘교실 수업’은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문 교과 교육의 논의에서 ‘漢文科 敎室 授業’에 관한 연구는 비중 있게 다뤄지지 못한 것 같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기인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학생과 교사가 만나는 교실이야말로 가장 實證的이고 積極的으로 연구해야 할 공간’이라는 認識이 한문 교과 연구자들에게 깊이 자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向後 ‘교실 수업’에 대한 總體的이며 體系的인 硏究가 한문 교과 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길 希望한다.
영문 초록
Instruction is a process that teachers and students have influence on each other by using their verbal & non-verbal gestures in a variety of teaching condition, correcting their behavior or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Therefore classroom instruction in a curriculum studies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comes so important. But we don't give a great deal regarding research on classroom instruction of Chinese classic. There are many kinds of reasons for that, but I think researchers of Chinese classic don't seem to recognize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the most active and practical place. In the future, I hope that overall and systematic study on the classroom instruction will be making much progress in the field of Chinese classic education.
목차
Ⅰ. 序論
Ⅱ. 協同的 學習을 위한 敎室 授業 戰略
Ⅲ. 學生 主導的 學習을 위한 漢字ㆍ漢字語 指導 戰略
Ⅳ.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朱熹의 『孟子集註』와 鄭齊斗의 『孟子說』의 '浩然章' 註釋 比較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의 문자학 세계
- 學生 主導的 學習을 위한 敎室 授業 事例 硏究 : 漢字ㆍ漢字語 指導 戰略을 중심으로
- 朝鮮本 『夾注名賢十抄詩』의 基礎的 考察
- 朝鮮本 『夾注名賢十抄詩』の基礎的考察
-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 Ext. B 異體字의 類型 分析 및 DB 構築 方案을 中心으로
- 明淸四書典故類著作臆說
- 18세기 청량산 유산기 연구
- 동아한학연구 제1호 목차
- 中國의 現代漢字學 硏究와 漢字 敎育
- 鶴陰 沈遠悅의 思惟方式에 대하여
- 明清四书典故类著作臆说
- 碧松 智嚴의 禪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