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明淸四書典故類著作臆說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writing of an authentic precedent of the Four Books in Ming&Ching Dynasty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金秀炅(homg-li Dong)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明淸四書典故類著作臆說의 역사적 지위들 중점적으로 다루고 아울러 淸代考證學의 역사적 연원을 고찰하였다.
明 嘉靖年間이래로 四書五經 가운데 名物典制를 종합 변증한 저작들이 대량으로 출현하였으며, 이러한 종류의 저작들은 주로 “典故”로 책명을 삼았다. 이는 宋代 이래의 經義가 발전하여 明代에 “八股時文”을 형성한 대배경하에 등장한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典故類著作에 대한 과거 學術史上의 평가는 지극히 부정적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저작의 출현은 본래부터 소홀히 할 수 없는 역사적 작용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經書典故類著作에 양면성이 존재한다고 파악하였다. 이는 곧 한편으로는 俗學에 속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學術硏究에 보조역할을 할 뿐 아니라 심지어 그 자체가 심각한 학술연구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한편 고증학의 수준제고와 연구의 심화는, 다시 으레 역으로 작용하여 ?園冊子의 질을 높이게 되었다. 그러한 까닭에 經書典故類著作에 대해, 그에 맞는 가치와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고 보여진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inly described the historical position of writing of an authentic precedent of the Four Books(四書典故類) in Ming (明) & Ching(淸) Dynasty. at the same time. examining the historical origin of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Ching Dynasty period.
After the Ming Dynasty Jia-jing(嘉靖) annual publication. lots of writings which synthetically demonstrated ming-wu-dian-zhi(名物典制) among the Nine Chinese Classics(四書五經) appeared and such types of writings were mostly named “an authentic precedent(典故)”. Those writings appeared, as meaning of the Confucian classics(經義) had developed since the Sung Dynasty and formed “ba-gu-shi-wen(八股時文)” in the Ming Dynasty period. Just for the reason, the evaluation of a work of an authentic precedent(典故類著作) in the past academic history was very negative. However. the appearance of such writings have the historic effect and value that can not be neglected from the first. This paper described that there existed both faces in the writing of an authentic precedent of the Confucian classics(經書典故類). This implies that the writings on the one hand belong to popular learning and on the other hand not only play a subsidiary role but become an important academic research by itself. In the meantime, raising the level of a bibliographical study and its deepened research always had an adverse effect. increasing the quality of tu-yuan-ce-zi(?園冊子).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suitable value and position be granted to the writing of an authentic precedent of the Confucian classics(經書典故類).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朱熹의 『孟子集註』와 鄭齊斗의 『孟子說』의 '浩然章' 註釋 比較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의 문자학 세계
- 學生 主導的 學習을 위한 敎室 授業 事例 硏究 : 漢字ㆍ漢字語 指導 戰略을 중심으로
- 朝鮮本 『夾注名賢十抄詩』의 基礎的 考察
- 朝鮮本 『夾注名賢十抄詩』の基礎的考察
-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 Ext. B 異體字의 類型 分析 및 DB 構築 方案을 中心으로
- 明淸四書典故類著作臆說
- 18세기 청량산 유산기 연구
- 동아한학연구 제1호 목차
- 中國의 現代漢字學 硏究와 漢字 敎育
- 鶴陰 沈遠悅의 思惟方式에 대하여
- 明清四书典故类著作臆说
- 碧松 智嚴의 禪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