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민의 기본권 시각에서 본 농지취득·소유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of Farmland Acquisition and Ownership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Rights of Farmer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법학회
- 저자명
- 박정희(Jung-Hee Park) 배준범(Jun-Beom Ba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법학』제28집 제2호, 119~15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3월경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신도시 사업지역의 토지 투기성 매입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농지법」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고, 그 내용으로는 농지의 취득 및 소유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것이었다.
현재, 농촌은 인구의 감소, 고령화 심화, 청년세대 유출, 다문화 가구의 급증 등으로 인하여 인구구조가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농촌은 소멸 위기 현상을 겪고 있다. 그런데 은퇴를 하고자 하는 농민, 채무변제에 시달리는 농민, 생활자금을 마련하고자 하는 농민 등은 농지를 매도해야 하는데, 매수할 대상자를찾을 길이 없어 농지 거래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헌법」상 규정된 ‘경자유전의 원칙’의 폐기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농민의 기본권 보장 측면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재 농지취득 및 소유에 관한 「농지법」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March 2021, the 「Farmland Act」 was revised due to the issue of land speculative purchases in new city business areas by employees of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LH). So the content of Farmland was to strictly restrict the acquisition and ownership of farmland.
Currently,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rural areas is rapidly changing due to a decrease in the population, a deepening aging population, an outflow of young generations, and a rapid increase in multicultural households. However, farmers who want to retire, farmers who suffer from debt repayment, and farmers who want to raise living funds have to sell their farmland, but the farmland transaction has been virtually suspended because there is no way to find someone to buy it.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scrapping the ‘The principle of farmland ownership’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with a awareness of the problem in terms of guaranteeing farmers’ basic rights,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armland Act」 on the acquisition and ownership of farmland and how to solve it.
목차
Ⅰ. 머리말
Ⅱ. 농지취득과 소유에 관한 법령 검토
Ⅲ. 농민의 기본권과 농지취득 및 소유제도
Ⅳ. 2021 개정 농지법의 역행과 그 대책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법학 제28집 제2호 목차
- 빈집정비사업에 대한 공법적 검토
- 서울특별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이 호텔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 프랑스의 빈집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 제주도 지역 아파트 주거요인이 주거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농민의 기본권 시각에서 본 농지취득·소유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소고
- 지하공간에서 건설 공사를 위한 법제 고찰
- 수도권광역급행열차(GTX)-B노선 추진에 따른 사업단계별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오피스텔 시장 경기 국면 변동
- 환경침해에 대한 유지청구의 인정 근거로서 민법 제217조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법적 성질과 민사집행
- 부당한 장래적 판례변경 -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