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이용수 34

영문명
US Military Topographic Maps of Korea during the Korean Military Government Era (1945-1948): History, Cartographic Style, and Historical Geographic Data Resource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김수현(Soo Hyun Kim) 한예림(Yerim Han) 김준수(Junsoo Kim) 박범순(Buhm Soon Park) 박선영(Seon-young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6권 제1호, 77~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군정기(1945-1948)의 미육군지도창(US Army Map Service)이 발행한 1:250,000 군사지형도인 L551와 1:50,000 군사지형도인 L751의 제작 배경, 도식, 역사지리 정보 자료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미군정기가 끝나기 전까지 미육군지도창은 L551 초판, 개정판과 L751 이색도(도식형: Type A)와 3개의 다색도(Type B, Type F, 미표기)를 제작하였다. L551 판과 L751 이색도, 다색도-Type B는 일제의 한반도 지형도와측량 정보를 집약, 복제하는 방식으로 도화된 반면, L551 개정판과 L751 다색도-Type F와 -미표기에서는 지물, 지류 목록이 간소되고, 미군이 촬영한 항공사진(1944-1946)을 통해 위치 정보가 교정되었다. 미육군지도창이 활용한 대부분의 일본 지형도는 1930년 이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L551 개정판과 L751 다색도 개(Type F, 미표기)가 일제강점기 직후의 지리정보 자료로서 더 적합하다. 하지만, L551, L751은 도로분류와 등외도로의 표기가 부정확하고, L751의 경우 미군정기 동안 38선 이북 대부분의 지역의 도엽이 미발행되었다는 한계점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군정기의 미군사지형도는 한반도의 식민시기에서 냉전기로의 전환기에 생산된 지도로서 역사지리학, 정치지리학서의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확장된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cartographic styles, and suitability of L551 and L751 maps—two US military topographic map series issued by the US Army Map Service (AMS) during the Korean Military Government Era (1945-1948)—as historical geospatial data resources. Until the end of the period, the AMS produced the first two editions of L551, a series of 1:250,000 polychrome maps of Korea, and a dichrome version (Type A) and three polychrome versions (Type B, Type F, and Unspecified) of the L751, a series of 1:50,000 maps of Korea. While the first edition of the L551 and the Type A and B versions of the L751 were produced with insignificant corrections based on previous Japanese Korean maps mostly presen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 Korea before the 1930s, the second edition of the L551 and the other two versions of the L751 corrected through aerial photographs taken between 1944 and 1946. It is found that the second edition of the L551 and two types of L751 polychormes (Type F and Unspecified) were more suitable as geographical data source for the immediate post-colonial period in Korea. However, the L551 and L751 maps had two limitations: 1) inaccuracies in road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extraneous roads (e.g., trails), and 2) the lack of L751 map sheets for most areas north of the 38th parallel until the end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in 1948.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US military topographic maps from the Korean Military Government Era holds potential for advancing new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search in historical and political geography, covering the transi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Cold War era o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1. 서론
2. 미군정기(기간: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도 제작 배경
3. 미군정 시기에 제작된 한반도 지형도: L551, L751
4. 일제강점기 직후 역사지리 자료원으로서의 적합성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현(Soo Hyun Kim),한예림(Yerim Han),김준수(Junsoo Kim),박범순(Buhm Soon Park),박선영(Seon-young Park). (2024).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한국고지도연구, 16 (1), 77-96

MLA

김수현(Soo Hyun Kim),한예림(Yerim Han),김준수(Junsoo Kim),박범순(Buhm Soon Park),박선영(Seon-young Park). "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한국고지도연구, 16.1(2024): 7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