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세 한국과 중국의 道里記체계 비교연구

이용수 17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the ‘Itinerary’ systems of modern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6권 제1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왕조시대의 도리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중국의 도리기와의 비교 분석이라는 시각이 누락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비교를 통해 서로간의계보적 영향력 전파의 유무와, 내용에 나타나는 양자의 편찬목적과 이용실태의 차이, 아울러 내용에 투영된 양국의정치지리적 사회지리적 차이 등 세 가지를 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조선왕조에서는 주된 도리기류인 『도로고』, 『동국문헌비고』 여지고 도리조, 조선광문회본 『도리표』, 김정호의 『대동지지』 등이며, 중국 쪽에서는 선행연구가 풍부한 명대의 『일통노정도기』와 청대의 『흠정대청회전사례』 역로조 등 두 서지이다. 그 결과, 경유지명의 선택과 표기, 이정 표시, 노선 분류 등 양자 간에 상당한 유사점이 확인되어, 계보적인 교류의 존재가 확실해 보였다. 한편 조선왕조 쪽 도리기에는 중국 쪽과 달리 상업 등 민간을 겨냥한 잡다한 정보가 없는 대신, 산천 등 자연지리적 정보와의 융합을 기초로 하는 등, 실용성과 함께 국가적 지리인식 표출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on Dorigi(道里記) Itinera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missing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on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politically and culturally each other. Through comparison, I have analyzed three axes: the presence of genealogical influence spread each other, the differences in the purposes and usage, and the ge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ubjects of analysis include major “Dorogo(道路考)”, Yeojigo Dorijo from “Dongguk Munheonbigo”(東国文献備考輿地考道里条), “Doripyo(道里表)”, and Kim Jeong-ho(金正浩)’s “Daedongjiji(大東地志)”, in Josen Korea, and two Chinese Dorigi Itineraries, one from Ming Dynasty and the other from Qing Dynasty. As a result,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nations were confirmed in the selection and notation of place names, marking of transit points, and classification of routes, making the existence of genealogical exchanges each other seem certain. Meanwhile, unlike the Chinese side, the Joseon Dynasty's Dorigi did not contain miscellaneous information targeting the private sector such as commerce, but instead was based on the fusion of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mountains and streams with reads, confirming a tendency to place more importance on expressing national geographical awareness than practicality.

목차

1. 들어가며
2. 조선시대 도리기 형식 지리지의 발달
3. 중국 역사상 도리(노정) 정보의 발달 과정
4. 명대 청대 도리기의 내용과 특징과 조선왕조 도리기
5.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2024).근세 한국과 중국의 道里記체계 비교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 (1), 5-24

ML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근세 한국과 중국의 道里記체계 비교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1(2024):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