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와 사행 노정의 변화
이용수 4
- 영문명
- The Changes in Diplomatic Rout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 저자명
- 정은주(Eunjoo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지도연구』제16권 제1호, 5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문에서는 여말 선초부터 조선 중기까지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명을 왕래한 사행의 노정 변화를 당시 사행의 주요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말 선초 북원 세력을 피해 황해 남로를 통해 사신들이 남경을 오갔던 정황과 조선 전기 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왕래하는 노정을 상호 교차하여 파악하였다. 이후 명의 정세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요동-산동로와 육로를 통해 사행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전반 後金 세력의 성장으로 위험해진 요동의 육로를 통과하지 못하고 바닷길을 이용해 북경을 왕래할 수밖에 없었던 정황을 노정의 주요 변화에 따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diplomatic routes from the establishment of Ming in Nanjing to the relocation of the imperial capital in Beijing during the late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of Joseon Dynas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circumstances in which envoys traveled to and from Nanjing through the Southern Yellow Sea Road to avoid the Northern Yuan force in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changes in the route passed by the Liaodong-Shandong route and the over lands when the situation of the Ming Dynasty stabilized. Also,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at the situation forced to travel to and from Beijing using sea routes to avoid Liaodong area in the 17th century result from the power growth of the Houjin.
목차
1. 머리말
2. 여말 선초 명나라 사행 노정
3. 조선 전기 明使의 사행노정
4. 명청교체기 조선과 명의 사행노정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