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How Corporate Welfare Policy Affects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rking Wome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문선희(Sun-Hee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8 No.1,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여성가족패널자료 3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1,413명의 임금직 기혼 직장여성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주요 분석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는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의 만족정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에서의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일-가정 갈등 변인은 가정생활과 직무에서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복지제도 변인들 중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국민연금의 제공여부였으며, 가족친화제도 관련 변인들 중 출산휴가와 직장내 보육시설 제공여부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제도 변인들로서 유급휴가, 시간외 수당, 국민연금, 산재보험의 제공과 동시에 가족친화제도 관련 변인들에서는 탄력근로/시차출퇴근 제도만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서, 직장내 보육시설의 설치, 탄력근로제/시차출퇴근제도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이들 제도의 지속적인 시행과 확산을 위해 공공부분에서부터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증대로 인한 가족의 돌봄에 대해 새로운 사회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정양립이 가능하기 위해서 근로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수요층에 기초한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welfare policies on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levels for married working women.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Wave 3, 1,413 married working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primary analytical methods for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rporate welfare polic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both work and family lif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demographic variables were the explanatory factor in determining the work satisfaction as well as the family-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using corporate welfare policies. Second, work and 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ed both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Third, of corporate welfare policies, national pension, support for childcare, and parental le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life satisfaction. Paid leave, overtime pay, national pension, occupational insurance, and flexible work tim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satisf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support for childcare and flexible work time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married working women's lives. Thus, in order to sustain those family-friendly policies, the policies from the public sector need to be improved first. In addition, alternative, more specialized policies are need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married working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