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폭력경험과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가해행동 관계에서 학교폭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Impact Experience Family-Violence on Violent Cyber Behavior in Yout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경은(Kyung-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8 No.1,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폭력행동이 사이버 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갖고 사이버폭력에 이르게 되는 원인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이에 현실에서의 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 사이버폭력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정폭력경험과 사이버폭력 관계에서 학교폭력이 어떠한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정폭력경험에 대한 사이버폭력간의 직접효과와 학교폭력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경로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전, 평택, 청주, 익산, 군산시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 1,30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경험은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정 내에서 폭력상황에 노출될수록 사이버 상에서의 위험행동과 밀접히 관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가정폭력과 사이버폭력 관계에서 학교폭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정폭력경험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학교폭력이 높아져 사이버 상에서도 폭력으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경향이 가해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실에서의 폭력경험과 사이버 행동문제가 밀접하게 관계되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안정된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중요함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사이버폭력의 예방개입 방안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family experiences and cyber violence. It was' specificall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yber violence on the experience of family-violence through the medium of school violence by utilizing a path mod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3 secondary students who resided in the cities of Daejeon, Pyeongtaek, Cheongju, Iksan and Gunsan. Data were gathered from the selected student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family-violence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cyber violence.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angerous cyber behavior when they are more exposed to violent situations at home. Second, school violenc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and cyber violence. In other words, the teens who exposed to family violence committed more violence at school, and their tendency to resolve conflicts through violence resulted in aggravating their violent cyber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violence in reality and having behavioral problems in cyber space, and suggested that stable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prevention of youth cyber viol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