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 성발달 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Form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이소희(So Hee Lee) 신미(Mi Shin) 유미숙(Mee Sook Yoo) 하은혜(Eun Hye Ha) 조유진(You Jin Cho)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1, 63~7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발달 평가척도의 개발 과정에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중학교 재학생 5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분석방법은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별타당도, 신뢰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중학생 성발달 평가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본 척도의 구성타당도는 유의하였다. 즉, 본 척도의 4가지 영역-성태도 영역, 성적 의사결정 영역, 성폭력 인식 및 대처 영역, 양성평등의식 영역-에서의 모두 8가지 하위요인-성 허용, 성적 자연스러움, 성적 수치, 성적 거부결정, 거부에 대한 불안, 성폭력 인식, 성폭력 오인, 양성평등의식-이 추출되었다. 두 번째, 본 척도의 변별타당도는 유의하였다. 음란매체 접촉경험의 유무에 따라 살펴본 성발달 평가척도의 변별정도는 음란매체 접촉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으로 나뉘어 각 하위요인별로 유의하게 구분되었다. 셋째, 본 척도의 신뢰도는 8가지 각 하위요인에서 .62~.92의 범위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22 students in Grades 1 to 3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contents, constructs, and discriminant validity Cronbach's coefficient was also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high and the item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also significant. More concretely, factor analyses confirmed 8 factors on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Second, the results revealed good discriminant validity. In the study, the scale demonstrated its predictive value for sexual development in how subjects responded to experiences through exposure to sexual materials; subjects exposed to sexual material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not exposed to sexual materials on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Thir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in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showed .62~.92 and was acceptable. The findings thus indicated that the scale w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sexual develop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e scale in research and the educational and clinical practice of sexual development,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희(So Hee Lee),신미(Mi Shin),유미숙(Mee Sook Yoo),하은혜(Eun Hye Ha),조유진(You Jin Cho). (2008).중학생 성발달 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 (1), 63-78

MLA

이소희(So Hee Lee),신미(Mi Shin),유미숙(Mee Sook Yoo),하은혜(Eun Hye Ha),조유진(You Jin Cho). "중학생 성발달 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1(2008): 6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