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버지의 남성육아휴직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Attitudes toward Paternity Leave and Child Rearing Activities: A Study of Employees in Gyoungsangbukdo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영석(Young Suk Lee) 박은미(Eun Mi Park) 허창덕(Chang Deog Huh)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1, 25~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남성육아휴직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남성육아휴직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상북도 기업체 근로자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남성육아휴직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에 의한 종속변수는 남성육아휴직제도 이용에 대한 태도, 남성의 육아 활동에 대한 태도로 분류하였다. 독립변수는 개인 환경(연령, 학력), 가족 환경(배우자 직업, 배우자 임금, 자녀 수, 자녀 보육), 노동 환경(종업원 수, 고용형태, 임금, 맞벌이, 직업), 회사 환경(회사 운영자, 기업 형태)인 4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성육아휴직제도 이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연령과 자녀수, 자녀보육으로 구성된 개인환경과 가족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이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하려는 태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를 돌봐야 하는 가족환경 여부에 따라 그 태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육아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력, 맞벌이 여부, 회사 운영자, 기업형태로 구성된 개인 환경, 노동 환경, 회사 환경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남성이 육아 활동을 수용하려는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맞벌이 남성과 공공기관에서 근무할 경우 남성이 육아활동을 수용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끝으로 남성육아휴직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향을 구체화 한다면,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수적인 성역할과 고정관념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기업측면에서는 제도 정착을 위한 적정한 유인체제와 기업측면에서는 양육책임을 공유화하려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variables which affect men's attitudes toward paternity leave. The study investigates the likelihood of Korean fathers takingadvantage of paternity leave and the factors preventing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uch policies.study surveyed 415 corporate employees, all married, with at least one child, and residing in what is regarded as the most conservative area in Korea, Gyoungsangbukdo. The authors categorize four types of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personal/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etc); 2) workplace characteristics (number of employees, type of employment, wages, occupation, etc.); 3) company characteristics (employer, type of company, etc.); and 4) family characteristics (spouse's occupation, spouse's wages, number of children, etc).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authors examin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our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following two dependent variables:attitudes toward paternity leave policies and 2) attitudes toward child rearing activities.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 workplace and company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ale attitudes toward paternity leave policies. Moreover,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affect subjects' decision to take advantage of paternity leave or not. Finally, the authors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enforcement of paternity leave at three levels individual, corporate and societa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남성육아휴직제도의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