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Korean Life Adjustment Patter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정천석(Chun Seok Chung) 강기정(Ki J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1,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년 이상 된 국제결혼 이주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한국생활적응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만족 적응 유형에서 공통적인 특성은 이웃교류 수준이 결합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웃교류 수준이 낮을 경우 생활만족 적응 유형으로, 이웃교류 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부적응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응 적응 유형에서는 부부관계 갈등 수준이 낮은 조건을 공유하며, 이와 관련된 특성과 결합하여 심리적응 유형으로 나타났다. 심리부적응 유형에서는 부부관계만족 수준이 낮고, 어려울 때 상담해줄 아는 사람이 있는 조건을 공유하며, 이와 관련된 특성과 각각 결합할 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은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결합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가족복지 지원 서비스 실천에 있어서 자국인들 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갖추어 자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생활만족적응 유형과 심리적응 유형에 따른 맞춤형 사업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life adjustment patterns among 25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the Chun-An area in Korea for over one year. It was found that life adjustment patterns depended on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particularly neighbors. When subjects had few interactions with others, they appeared to be more satisfied and adjusted. When the exhibited high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ubjects appeared as more unadjusted. Psychological adjustment patterns were revealed at a low level of conflict between marriage partners and with characteristics unique to each situation.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patterns of maladjustment were indicated by feelings of low satisfaction for the relationship or when there was someone who could counsel the women during a difficult time in their marriage. The paper concludes that family welfare support services should be tailored to enhance 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adjustment patterns. The service should be systematic and long term.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resources to support social networks among the women in order to help them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that avail themselves to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