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대중문화의 기능적 담론 비교 연구

이용수 14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ctional Discourse of Popular Culture in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신사명(Shamyung Shin)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4권 2호, 179~20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대중문화의 의미를 살피고 두 나라의 대중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있다. 중국의 경우, 개혁개방 이후시장경제체제의 변화로 인해 인민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윤택해지면서 문화를 향유하려는 경향이 짙게 나타났다. 이때 대중문화는 경제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교육적 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시민사회를 형성하였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반면 문화적 제국주의로 인해 서양의 문화가치관과 의식형태가 중국대중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어 중국 전통의 정신문화를 와해시키면서 중국의 인문정신의 위기를 가져왔다는 점이다. 한국의 경우, 대중문화는 개인을 표현하는도구로 활용되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경제적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중국과 마찬가지로 인문학과 순수 전통예술의 위기, 민족문화의 상실이라는 폐단을 함께 지니고 있다. 양국의 대중문화의 기능적 담론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양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중적 문화교류를 통해 점진적 상호 발전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Korea and China, and to analyze and compare the pure and dysfunctions of popular culture in the two countries. In China since its transition into the market economy by the reform and opening, its people have become well-off and had more desire to enjoy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pop culture played affirmative roles such as relieving economical and mental stress, educating people and forming civic society.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cultural imperialism, cultural values and a way of thinking from the West have influenced upon Chinese pop culture and collapsed its traditional spiritual culture, causing the crisis of Chinese humanism. In Korea, the positive aspects of its pop culture are as follows: the Korean pop culture not only serves as a way to express oneself and relieve mental stress but also produces economical profit. However likewise the Chinese case, South Korea is confronted by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raditional art and folk culture. Studying these diverse functions of the two nations’ pop cultures, I could understand the two cultures and seek plans to achieve mutual development gradually through the two countries’ cultural interchanges.

목차

1. 서론
2. 한국 대중문화의 탈구조주의적 순기능과 역기능
3. 중국 대중문화의 마르크스주의적 순기능과 역기능
4. 한·중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적 순기능과 역기능 비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사명(Shamyung Shin). (2024).한중 대중문화의 기능적 담론 비교 연구. 교방문화연구, 4 (2), 179-204

MLA

신사명(Shamyung Shin). "한중 대중문화의 기능적 담론 비교 연구." 교방문화연구, 4.2(2024): 17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