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 연구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nalysis of Gayageum Byeongchang Research Trends -Focusing on Master’s thesis-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김현정(kim, hyun jung)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5권 제1호, 275~30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82년부터 2024년 2월까지 간행된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을 살펴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미진한 연구 분야를 탐색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가야금병창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 148편을 선정하여 연구 방법은 연대별, 학교별, 주제별로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은 연대별 가야금병창 석사학위 논문과 교육대학원 연구 동향을 살펴보니 1982년대는 총 7편, 2000년대는 총 49편, 2010년대는 총 66편, 2020년대부터 2024년 2월까지 총 24편으로 시대별 가야금병창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연구 되어지고 있었다. 학교별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은 중앙대가 32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는 한예종에서 21편 연구되었으며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은 원광대 교육대학원이 8편, 우석대 교육대학원이 5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편, 중앙대 교육대학원 1편으로 일반대학원 논문 수에 비에 현저히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주제별로 크게 악곡 연구, 교육 연구, 기타 연구로 대분류하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악곡 연구가 전체 75%를 차지하며 인물 중심 악곡 분석 또는 가야금병창곡과 병창곡을 비교하거나 판소리와 병창곡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였다. 교육연구는 교수법 지도안과 대상별 지도안으로 소분류하여 전체 33% 연구되었으며 그 밖의 유성기 음반, 기보법, 지역적 특색, 조율법 연구로 전체 3% 연구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가야금병창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가 다양한 각도로 확장되어 현 사회의 교육적 환경이나 시류에 부합하여 스마트 교육 개발 및 타 교과나 다른 학문과도 융합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하여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주제의 창의성과 다양성 확보에 따른 논문의 질적 개선과 악곡 연구 향상을 위해 정확한 작성 체계나 표기 형식의 체계적인 분류 기준을 확립하여 정리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연구 대상 동향을 살펴보면 교사, 일반인,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보이나 노인, 유아,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기 힘들다. 연구 대상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넷째, 연령별 발달 단계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자료 개발 및 프로그램이 개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중적 보급을 위해 가야금 악기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합리적인 가격의 가야금 악기가 보급되면 가야금병창 교육도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야금병창 학위논문의 현황을 이해하는 바탕이 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학위논문의 질적 개선을 이룰수 있도록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master’s theses published from 1982 to February2024, and to derive socio-educational implications, explore under-researched area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148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were selected and examined by period, school, and topic. Looking at the trends in gayageum byeongchang master’s theses and graduate school research by period,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became more active over time, with a total of 7 theses in the 1980s, 49 theses in the 2000s, 66 theses in the 2010s, and 24 theses from the 2020s to February 2024. In terms of schools, Central University had the most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with 32, followed by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ith 21. When classifi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music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and other research, it was found that musical research accounted for 75% of the total, with most studies focusing on person-centered musical analysis or comparisons between gayageum byeongchang and other genres. Educational research accounted for 33% of the total, mainly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plans by target audience, while other topics accounted for 3% of the to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First, research topics should be expanded from various angles to develop new research topics that align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or trends in society, integrating with other subjects or disciplines to actively respond to societal changes. Secon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s and improve musical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classification criteria for accurate writing systems or notation formats based on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of research topics. Third,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various target audiences. While studies targeting teachers, the general public,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visible, there is a lack of studies targeting the elderly, infants, 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ystematic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udience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and researched to ensure a balanced representation of research subjects without bias. Fourth,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tudied so that systematic education suitable for each age-specific development stage can be achieved. Fif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ayageum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carried out for public distribution. If reasonably priced Gayageum musical instruments are distributed, Gayageum Byeongchang education will be more activ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master’s thes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kim, hyun jung). (2024).가야금병창 연구 동향 연구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5 (1), 275-301

MLA

김현정(kim, hyun jung).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 연구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5.1(2024): 275-3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