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업가의 창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및 교육에의 시사점

이용수 46

영문명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entrepreneurs’ start-up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진경(Jingyung Jeong) 김재호(Jae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153~18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업가의 창업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창업 사례들이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창업가들에 대한 사전면담과 심층면담을 통해 창업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의 구조를 진술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기술적 현상학을 기초로 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창업가 4명과 진행한 창업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 내용을 통해 범주화한 구조를 진술하고자 하였다. 심층 면담 내용은 각 참여자들이 연구자가 제시한 공통서면 질문에 답변한 내용이며 이를 위해 3명의 참여자는 대면 면담을 1명의 참여자는 온라인 면담으로 진행했다. 창업인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을 정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으로 나누어 전공선택배경, 진로선택 및 전환, 창업 과정에서의 창업 경험, 삶의 목표 및 방향성에 대한 4개의 핵심 의미 단위와 15개의 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51개의 의미단위를 범주화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전공선택 배경을 살펴볼 때 가정환경의 영향, 직업과의 연관성, 적성 및 관심 분야로 나뉘어졌다. 둘째, 진로선택 및 전환에 대해 살펴보면 전공과 연계해 진로를 선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창업 과정에서의 경험에서 나의 강점에 대해 알아 보았을 때 업종에 맞는 성격과 창업 전 관련 업종에 취업해 경험을 쌓아봤던 사례 등 창업에 도움되는 면을 지닌 경우가 있었다. 넷째, 삶의 목표 및 방향성에 대해 살펴 볼 때 기대와 성취경험에서는 창업 후 창업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일에 대한 만족과 함께 사회·경제적인 안정감 또한 만족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에의 시사점을 진로 탄력성 교육 강화, 직업윤리 의식 제고, 타인과의 협력적 관계에 대한 강조, 교원 양성과정에서의 진로교육의 변화 등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of founders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hool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ial cases. The research employs Giorgi's (1985) descriptive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rticulate the structure of experiences founders undergo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entrepreneurs who have maintained their businesses, categorizing their entrepreneurial experienc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interviews involved responses to common written questions provided by the researcher. Thre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ace-to-face, while one participated in an online interview. The study categorizes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entrepreneurs' lives into emoti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focusing on four key meaning units and 15 sub-components, which are divided into 51 meaning units: Background of Major Selection: Influenced by family environment, job relevance, and areas of aptitude and interest. Career Choice and Transition: Often linked to their major. Entrepreneurial Experience: Discovering personal strengths such as relevant personality traits for the industry and prior experience in related fields. Life Goals and Directions: Many entrepreneur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becoming experts in their field post-startup, finding both job satisfaction and socio-economic stabi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suggesting enhancements in resilience education, professional ethics awareness,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hanges in on-site care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경(Jingyung Jeong),김재호(Jaeho Kim). (2024).창업가의 창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및 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 (2), 153-185

MLA

정진경(Jingyung Jeong),김재호(Jaeho Kim). "창업가의 창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및 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2(2024): 15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