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취기준을 디지털화한 콘텐츠가 실과 내용 영역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6

영문명
The Impact of Digitized Content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on Interest in Practical Science Subject Area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류청산(Cheong-san Ryu)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127~15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자로 구성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가지고 실과 내용 체계를 학습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켜 자발적인 학습 동기로 이어지게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기 위해 추진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각 실과 내용 영역별로 성취기준을 디지털화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에 활용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는 콘텐츠 적용 전과 후에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성취기준별 관심도의 변화량을 검정하기 위해 bootstrapping과 함께 대응 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하였다. 이때 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신뢰구간의 신뢰수준은 95%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화한 콘텐츠를 사용한 후 학생들의 실과 내용 영역에 전반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기준을 디지털화한 콘텐츠로 학습하기 전과 후의 관심도 변화는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생활 환경과 지속 가능한 선택, 지속 가능한 기술과 융합,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 영역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특히,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 영역의 관심도 증가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 수준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반면, 기술적 문제 해결과 혁신 영역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친 원인을 분석해보고 이 영역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양성과정에서 디지털 자료의 활용 효과가 왜 중요한지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실과교육의 성취기준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미래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 나아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ays to evoke interest and enhance enthusiasm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ducation learning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using text-based achievement standards, aiming to foster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e study employed an experimental approach with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here content visually re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practical arts subject area was developed and utilized for the learning process, with learner responses quantitatively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changes in interest in achievement standard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visual content were tested using bootstrapping and paired sample T-tests with a 95% confidence level. The analysis confirm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udents'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ntent areas after exposure to the visualized content. Specifically, changes in interest before and after learning with digitized content of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an development and proactive life, living environments and sustainable choices,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and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Notably, interest in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ed the most, with high significance at the 1% level.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or innov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sing digital resourc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teach achievement standar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o university students. This, in turn, is expected to establish a robust foundation for future teachers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actual teaching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부트스트래핑 개념과 활용방안
Ⅲ. 연구의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청산(Cheong-san Ryu). (2024).성취기준을 디지털화한 콘텐츠가 실과 내용 영역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 (2), 127-151

MLA

류청산(Cheong-san Ryu). "성취기준을 디지털화한 콘텐츠가 실과 내용 영역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2(2024): 127-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