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의생활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46

영문명
An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on Clothing Life Contents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효심(Hyo-Shim Kim)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83~9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의생활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과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J대 교육대학 재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Statistics 24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의생활교육 내용요소 18항목에 대해 교사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인식과 예비교사 자신의 현재 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이 둘의 차이를 기초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그리고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내용영역 가치·태도 범주의 의생활교육 내용요소들에 대해 교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능력 및 자신의 현재 능력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성별, 의생활강의 수강경험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상위 순위는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의 내용요소들에 집중된 경향을 보였으며, 교사에게 중요하게 생각되는 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이나 자신의 현재 능력에 대한 인식이 가치·태도 범주에 주로 집중되었던 것과 대비되게 과정·기능 범주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다.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내용요소는 일상생활에서의 지속가능한 행동 계획하여 실천하기가 1순위였으며, 다음으로 생활자원의 사용가치를 높이는 방법 탐색하기, 지속 가능한 의식주생활, 직접 만들어 쓰기의 가치와 창의적인 태도, 생활자원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자신의 선택이 공동체의 삶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설명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content elements of clothing life education included in the “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 and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areas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employed Borich's calculating model using the score gap between the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and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The survey included 18 content elements related to clothing life education: 4 items in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ategory, 7 items in the process and function category, and 7 items in the value and attitude categor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13 pre-service teachers at J University, with additional questions on sex, school year, major, and experience with clothing life lectures. The study used SPSS Statistics 24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value the teacher's ability and highly rate their abilities in the values and attitudes categories of clothing life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experience with clothing life lectures. Second, educational needs for clothing life education content elements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area, especially in the process and function categories, and encompassed elements from the value and attitude category. The highest needs wer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sustainable actions in everyday life, followed by exploring ways to increase the value and use of living resources, sustainable food, clothing, living life, self-made, and creative attitudes, attitudes toward cherishing living resources, and understanding the impact of one's choices on the community’s life and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lif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prioritize and balance content elements 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area. It is necessary to devise integrated programs that cultivate practical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activities in the process and function categories. Second, strategie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gender of pre-service teacher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and implement clothing life education. Third, it is essential to further study th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the specific textbook units, including input from field teachers, and the results should inform teacher education and retrain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심(Hyo-Shim Kim). (2024).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의생활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 (2), 83-99

MLA

김효심(Hyo-Shim Kim).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의생활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7.2(2024): 8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