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제안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중심으로-

이용수 7

영문명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 and Proposal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Centered on Daecheon-ri, Yuchi-myeon, Jangheung-gun-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박기락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4권 제1호, 45~7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일대를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으로 개발하고 야외 지질 교수·학습 자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질학적 현상과 2015 및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고체지구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야외 지질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지역에는 역암, 사암, 셰일 등의 퇴적암과 암맥, 응회암 등의 화성암, 층리, 연흔과 같은 퇴적구조, 절리와 돌개구멍, 자유곡류하천 및 식물 뿌리에 의한 풍화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현행과 차기 초등학교 과학과 성취기준에 부합하였다. 야외 지질 교수·학습 자료는 ‘새로운 경험의 공간’을 고려하면서 준비, 야외 답사, 정리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 지역에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요소인 지층과 화석이 나타나지 않아서 이와 관련한 학습이 어려운 점이 이 연구 지역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 지역에서 야외 지질 학습을 수행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에 맞게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aecheon-ri, Yuchi-myeon, Jangheung-gun, as an elementary school geological field course and to propose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this purpose, the geological phenomena observable in this study area and the 2015 and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solid earth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and an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study area contains sedimentary rocks such as conglomerate, sandstone, and shale; igneous rocks such as dyke and tuff;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stratification and ripple mark; joint and pothole, free meander, and weathering by plant roots, all of which are aligned with the current and upcoming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 The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proposed in three phases: preparation, fieldwork, and summary, considering the ‘novelty space’. A limitation of this study area is that strata and fossils, which are learning components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do not occur in this study area,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about th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outdoor geological studies in this study area and modify and supplem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proposed in this study to suit rea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 지역 개요
3. 성취기준 분석
4. 교수·학습 모형 탐색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관찰 지점별 지질학적 현상
2. 야외 지질 교수·학습 자료 제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락. (2024).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제안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중심으로-. 교육발전, 44 (1), 45-70

MLA

박기락.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제안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중심으로-." 교육발전, 44.1(2024): 4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