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센다 미츠루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의 놀이공간 구성에 주는 함의

이용수 4

영문명
Implications of Senda Mitsuru9s architecture on the composition of play spa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하정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4권 제1호, 183~20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센다 미츠루가 지금까지 연구해 온 놀이 공간에 대한 연구 성과와 이를 바탕으로 구현한 놀이 공간과 관련한 문헌 분석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혁신적인 놀이 공간 변화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센다 미츠루의 저서 및 관련 논문과 보고서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센다 미츠루는 놀이 공간에 대한 연구를 위해 다각도로 아이들의 놀이 현황 및 놀이 행동을 분석해 왔으며, 그 결과 유아들에게 필요한 6개의 놀이 공간을 제시하고, 이 공간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순환할 수 있으면서 끊임없이 놀이가 발현할 수 있는 유환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놀이 요소를 제공하는 놀이도구의 건축화가 이루어진 특징을 나타냈다. 둘째, 센다 미츠루의 건축 이론과 그의 설계 구조가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놀이 공간에 주는 함의를 찾아보았다. 유아의 놀이 주체성을 살리는 순환적 이동성을 확보하고 유아들의 놀이 의욕을 고취시키는 불안정성을 도입해야 하며, 유아들의 놀이를 촉진하는 다양한 어포던스 제공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innovative changes in play spaces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n play spaces that Mitsuru Senda has studied so far and the analysis of play space-related literature implemented based on them.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Mitsuru Senda's books and related papers an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nda Mitsuru has analyzed children's play status and play behavior from various angles to research play spaces, and as a result, presented six play spaces necessary for infants, and established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spaces to circulate. It presented a circular structure that allows play to occur continuously while being able to do so. And it was characterized by the architectural design of play equipment that provides various play elements. Second, we looked into the implications of Mitsuru Senda's architectural theory and his design structure on the play spaces of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necessary to secure circular mobility that preserves children's play identity, introduce instability to encourage children's desire to play, and call attention to the need to provide various affordances to promote children's play.

목차

Ⅰ. 들어가며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센다 미츠루의 놀이공간 이론과 건축
1. 센다 미츠루의 생애 및 놀이연구 배경
2. 센다 미츠루의 건축이론의 특징
Ⅲ. 센다 미츠루의 건축에서 나타난 유아교육기관 공간구성의 함의
Ⅳ.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정. (2024).센다 미츠루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의 놀이공간 구성에 주는 함의. 교육발전, 44 (1), 183-204

MLA

이하정. "센다 미츠루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의 놀이공간 구성에 주는 함의." 교육발전, 44.1(2024): 18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