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찻자리에서 만난 琴의 상징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ymbolism of Geum (Geomungo) on Tea
- 발행기관
- 한국차문화학회
- 저자명
- 홍정숙(Jeongsook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문화』제6집, 191~22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dern tea meeting space is the place implying the meaning of recharging exhausted mind and body away from odd jobs by drinking tea and also offers the functions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social exchange. It is absolutely necessary space for modern people because it give them a vitality of life. So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tea meeting space in the past with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found in the literatures of records that the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arned Geum (Geomungo)-Gi (Baduk)-Seo (Calligraphy)-Hwa (Painting) suitable their environment and background and developed the strength of self-discipline and training to practice their spirits. Right behaviors developed in good environment were expressed naturally in reception room or resting room. Geum-Gi-Seoo-Hwa showed that it was the space for drinking tea and wine and also for the best culture and art space. Playing the geomungo was mental pleasure and an important way of expressing their emotions. It was not seeking excellent techniques but was suitable to training spirit because it was elegant and gentle. Thus this study was to reinterpret the traces of old writers, share their enjoyment and examine their mental world expressed to flow over the mountain high by being immersed in playing the Geomungo at tea meeting place and then value its use in modern tea meeting pla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文人의 품격조건
Ⅲ. 琴[거문고]의 상징성
Ⅳ. 찻자리에서 만난 거문고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차문화 제6집 목차
- 元末四代家의 影響을 받은 許鍊繪畵
- ≪六老山居詠≫의 저자와 석옥의 禪茶연구
- 湖南行茶禮法의 傳承硏究
- 전적을 통해 본 고려 차 문화 고찰
- 중국 흑차 연구
- 청사 없는 거버넌스, 근·현대 목포오거리 茶房文化를 통한 도시재생 활로모색
- 차(茶)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한국 전통차 제다 현실과 대안
- 차문화의 범주와 가치
- 하동 <골목길갤러리> 조성전략과 추진과정을 통해 본 차 관광자원화 연구
- 의재 허백련의 차생활에서 찾은 정신과 교훈
- 李奎報의 詩文에 나타난 차와 술에 관한 연구
- 차문화산업과 컬처노믹스적 차문화 공간 전략
- 『차문화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武夷岩茶에 관한 歷史的考察
- 국내산 두물 찻잎에 적합한 발효차 제조 공정 연구
- 찻자리에서 만난 琴의 상징성에 대한 고찰
- 야생차나무 종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