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이용수 215

영문명
Analyzing Generational Perspectives on Teachers' Career Prospect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정송(Song Jung) 이청아(Cheong-ah Lee) 장유나(Yoona Jang) 노언경(Un-Kyung No)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221~2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들의 승진, 이직, 정년 재직 여부 등과 관련된 경력 전망의 세대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교직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 2,06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승진, 이직, 정년에 대해 빈도 분석과 검정을 통해 X, M, Z세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급, 성별, 세대별 비율을 고려하여 선정한 1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세대별 경력 전망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결과에 대한 세대별 관점과 개선 방안 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결과, 모든 세대에서 승진에 대한 매력도는 낮았으나, 관련된 이유는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최신 세대일수록 이직 의도가 높고, 정년까지 재직할 의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세대 공통으로 이직 의도의 동기 중 낮은 임금, 교육활동과 관련된 침해 행위 증가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면담 결과, X세대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실제로 직면하는 승진 체계 및 방식에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는 측면이 강했으며, 이는 승진의 ‘가성비’적 측면을 따지는 M, Z세대와 구분되었다. 결론 교사들의 경력 전망에 대해 세대별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승진 직급 및 진로 유형을 다양하게 세분화하여, 교사로서의 역량과 역할 수행에 따른 전문성 발휘에 지속성을 보장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career prospects including promo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age.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s essential for adapting educational practices to the evolving needs of the teaching socie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6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ponses regarding promo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age were analyzed across generations X, M, and Z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Interviews on career prospects were also performed with thirteen teachers to gain in-depth insights into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policy improvement. Results: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all generations found promotion unattractive, they shared different perspectives regarding the reasons. The younger generation showed a higher inclination towards turnover intention and a lower commitment to remaining in the profession until retirement age. The most common motivations for turnover intention were low wages and increased violations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educational activities across generations. Generation X teachers expressed discomfort with the promotion system through the interviews while Generation M and Z teachers considered the cost-effectiveness aspect of promotion. Conclusion: Generational dispariti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career prospects call for considerations in teacher policies. Subdividing promotion positions and expanding career paths will guarantee continued exercise of teachers’ expertise in the era of 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송(Song Jung),이청아(Cheong-ah Lee),장유나(Yoona Jang),노언경(Un-Kyung No). (2024).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교원교육, 40 (3), 221-243

MLA

정송(Song Jung),이청아(Cheong-ah Lee),장유나(Yoona Jang),노언경(Un-Kyung No). "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교원교육, 40.3(2024): 221-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