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1

영문명
The Elementary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Enactment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보연(Bo-yeon Kim) 김미숙(Mi-sook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121~14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의 각기 다른 실행 맥락과 실행 동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핵심 행위자인 해설가(Narrator)를 주요 대상으로 면담하였다. 면담 질문과 분석은 Ball, Maguire와 Braun(2012)의 정책실행 개념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 과정에서 ‘해설(Narration)’에 나타난 자율성 활용 정도에 따라서 연구 대상을 ‘수동형 정책실행’과 ‘능동형 정책실행’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정책 문서도 ‘해석’에 따라 자율성의 제약 또는 확장으로 이어졌고, 해설가의 특성에 따라 설명과 안내의 목적도 달랐다. 학교 구성원의 참여 양상에 따른 해설, 정책실행 범위와 관련된 자율 활용 방법, 평가 과정의 흐름에도 차이를 보였다. 학교의 정책실행에서 차이를 만든 주요 동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해설가의 특징으로, 학교 안에서의 위치, 업무 경력, 정책 읽기와 관련된 경험 체계 등이 있다. 둘째, 학교의 해설 참여 양상으로, 해설에 ‘다자 참여’나 ‘연결된 참여’ 현상이 있었다. 셋째, 정책에 대한 의미 부여 방식으로, 학교의 전문적 문화 맥락이나 전문 분야와 큰 관련이 있었다. 결론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은 학교의 자율성 활용 정도, 학교 구성원의 참여 정도, 그리고 전문성 문화 등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다. 추후 교직원 간 관계나 공동체성의 문제, 학교의 자율성 강화 조건과 자율성 확대로 인한 학교 변화의 분석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enactment contexts and drivers of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Methods: The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actors, namely narrator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e interview questions and analysis utilized Ball, Maguire, and Braun's (2012) concepts of policy enactmen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ubjects as ‘passive policy enactment’ and ‘active policy enact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narrator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The analysis showed the same policy text led to the restriction or expansion of autonomy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guida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r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how autonomy was utilized in relation to the scope of policy enactment, and the flow of the evaluation process. The main drivers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enact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 narrators, including their position in the school, their work history, and their experience with policy sense making. Second, the ways in which schools engaged with narration, including the phenomena of “multiparty engagement” and “connected engagement” in narration. Third, the way they made meaning of the policy, which was high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cultures and schools’ specialisms. Conclusion: The enactment of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school,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and the professional cul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연(Bo-yeon Kim),김미숙(Mi-sook Kim). (2024).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교원교육, 40 (3), 121-147

MLA

김보연(Bo-yeon Kim),김미숙(Mi-sook Kim).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교원교육, 40.3(2024): 121-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