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the Ontario Student Record) 기재 방식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이용수 99
- 영문명
-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 Records in Korea Derived from an Analysis of Ontario Student Records in Canad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한혜정(Hye-Chong Han) 이승미(Seung-Mi Lee)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97~1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7296.jpg)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논문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의 특징에 대한 분석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문헌)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체제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의 분석 결과, 교과 활동 중심의 학생부 기재 방식의 재구조화, 서술식 기록의 객관성 담보, 학생 간 경쟁이 아닌 학생 각자의 성장에 목적을 둔 교수학습의 실현과 그와 연계한 교과 학습의 평가 방식 개선, 학교 급별 교육 성격의 차이를 반영한 학생부 기록 체제의 차별화, 학생부 기재요령 문서의 간소화 및 가독성 있는 개선 등 일곱 가지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은 입학전형 자료로서의 신뢰성 확보와 더불어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타당한 기록이라는 본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학부모, 학생, 교원 및 관계자의 인식 개선과 그 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 records in Korea from an analysis of Ontario student records in Canada.
Method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Korean student record system we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record system in Ontario, Canada, were analyze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student record system.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student records need to be restructured around the subject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checklist method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the narrative records. Thirdly, in order for student records to be an authentic record of student progress, most importantly,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encourage student growth rather than encourage competition among students, and the assessment method for students’ subjects learning should be improved.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record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education by school - level. Fifthl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the guideline documents found in student record writing and improve them so that they are presented in a teacher-friendly manner.
Conclusion: The student record system must be improved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tudent records. To achieve this it is imperativ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arents, students, teachers, and officials regard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tudent records, as well as to explore ways to utilize them for college admis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학생부 기재 방식의 특징과 문제점
Ⅲ.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
Ⅳ.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의 특징 및 시사점 분석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0권 제3호 목차
-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 2022 개정 고등학교 공학 선택과목에 대한 기술교사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 방안
-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the Ontario Student Record) 기재 방식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 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 분석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 과업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학습에 미치는 영향
- 교실 수업에서 ‘에듀테크 활용 맞춤형 학습’의 실현 가능성 탐색
-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