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안
이용수 162
- 영문명
-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of the Level-2 School Counseling Graduate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안유진(Yu-Jin An) 신서원(Seo-Won Shi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197~2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을 졸업하고 학교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을 졸업하고 전문상담교사가 된 8명을 모집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5개의 상위범주와 2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 직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 점으로는 ‘상담교사로서의 역량 강화’,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 증진’이 발견되었다. 이에 반해 도움이 되지 않은 점으로는 ‘실무역량에 대한 교육 부족’, ‘다양한 역할에 대한 교육 부족’, ‘실습 교육 체계의 미비’가 발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이슈에 대한 교육, 실습 교육 체계의 보완 등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of the level-2 school counseling graduate progra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Methods: Eight school counselors who graduated from a level-2 school counseling graduate program were recrui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Five categories and twenty subcategories were found. In terms of helpful aspects, ‘improving competence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better understanding of school settings’ were identified. Regarding unhelpful aspects, ‘lack of learning on practical competence’, ‘lack of guiding on diverse roles’, and ‘lack of practice and relevant system’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rovement plans such as training on practical school issues and suggestions for the practice syste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0권 제3호 목차
-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 2022 개정 고등학교 공학 선택과목에 대한 기술교사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 방안
-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the Ontario Student Record) 기재 방식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 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 분석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 과업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학습에 미치는 영향
- 교실 수업에서 ‘에듀테크 활용 맞춤형 학습’의 실현 가능성 탐색
-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