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업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

영문명
The Effect of Task Types on Verb Subcategorization Learning by High School English Learners -A Focus on the Task-induced Involvement Load Hypothesi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순영(Soon-Young Park) 김지혜(Ji-Hye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31~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과업 관여도 수준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어휘 습득과 관련된 과업 관여도 수준 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동사로 인해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문장 구조의 학습에 각기 다른 과업관여도를 지닌 과업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0명을 선정하여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 다른 종류의 과업을 적용하여 교수하였다. 실험자료로는 putting 동사류에 속한 9개의 동사를 선정하여, 세 집단에게 각기 다른 관여도 수준의 과업을 제시하여 동사의 하위범주화 자질에 대한 지식을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과업 관여도의 차이와 동사의 하위범주화 자질에 대한 학습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독해 중심의 대단위 학력평가에 기반한 영어능숙도 차이는 동사의 하위범주화 자질에 대한 지식 차이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과업 관여의 차이는 동사의 하위범주화 자질에 대한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동사의 하위범주화 자질에 대한 지식과 전국단위 영어능숙도 평가 간의 결과가 상이한 것으로 볼 때, 동사 활용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위한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ask involvement level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verb subcategorization knowledge. Based on the Task-induced involvement load hypothesis in vocabulary acquisition, we analyzed whether different tasks with varying levels of involvement affect the learning of sentence structures inevitably derived from verbs. Methods: Sixty homogeneous Korean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applying different types of tasks. We used nine verbs belonging to the “putting verb” category, and different levels of task involvement were presented to each group.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students' knowledge of verb subcategorizatio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ask involvement levels and learning of verb subcategorization. Furthermore, a discrepancy was observed between the proficiency levels determined by the national English test and the knowledge of verb subcategorization. Conclusion: The distinction in task involve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arning of the subcategorization features of verbs. However, given the disparity between knowledge of verb subcategorization features and nationwide English proficiency assessment results, it is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for English education to develop proficiency in verbal communication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영(Soon-Young Park),김지혜(Ji-Hye Kim). (2024).과업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0 (3), 31-49

MLA

박순영(Soon-Young Park),김지혜(Ji-Hye Kim). "과업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0.3(2024): 3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