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8

영문명
The impact of the perception of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on student growth: Focusing on the negative effects of povert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우명숙(Myung-Suk Woo)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149~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빈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지와 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아동 부가조사」가 실시된 2015년, 2018년, 2021년에 동일한 학생을 초, 중, 고등학교 3개 시점에 조사한 자료를 사용했다. 학생들이 초, 중, 고등학교 6년에 걸쳐 어떻게 인지적 정서적 성장을 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층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인지적 성장 관점에서 볼 때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의 교사의 지지 요인은 국어과목 성적의 성장률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성장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의 교사의 지지, 학교분위기, 친구관계 요인 모두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초기값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아존중감 성장률에서 학교분위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빈곤의 부정적 영향은 학생의 학습태도, 부모의 교육참여와 지도감독 변수를 투입하면 유의미성이 사라지거나 완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하면 빈곤의 부정적 영향은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빈곤의 영향은 영어과목 성적의 초기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은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지지는 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성장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교분위기와 친구관계는 정서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에서 교사의 지지가 강화되고, 학교분위기와 친구관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mitigates the detrimental effects of poverty and influences students' initial cognitive (Korean, math, and English grades) and emotional (self-esteem) develop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heir growth trajectories throughout middle and high school. Methods: This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from the same cohort of students surveyed at three interval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anning a six-year period from 2015, to 2018 and 2021.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Supplementary Survey on Children.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ultilevel Growth Model to examine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trajectories of students throughout thei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Results: In terms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study found that teacher support within the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growth rate of Korean language subject grades. Regarding emotional growth, factors such as teacher support, school atmosphere, and peer relationships within the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all exhibit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levels of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e school atmosphere positively impacted the growth rate of self-esteem. The negative impact of poverty was often diminished or mitigated with the inclusion of variables such as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nd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and supervision. Furthermore, with the additional inclusion of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he adverse effects of poverty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However, the influence of poverty persisted, manifesting as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scores of English subject grades. Conclusion: The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Particularly, teacher support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growth of students, and school climate and peer relationship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in schools to strengthen teacher support, and to foster a positive school climate and peer relationships, aiming for a positive direction in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명숙(Myung-Suk Woo). (2024).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0 (3), 149-170

MLA

우명숙(Myung-Suk Woo).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0.3(2024): 14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