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 분석

이용수 140

영문명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Sentence Importance Rating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황상현(Sang-Hyeon Hwang) 박영민(Young-Min Park)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0권 제3호, 75~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을 분석하여 문장 중요도 평정을 활용한 읽기 교육과 읽기 평가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국어교사와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을 검사한 후, 국어교사의 평정을 준거로 고등학생의 평정을 채점하였다. 단일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문장 중요도 평정의 전반적인 특징과 성별·수준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장의 중요도별로 국어교사와 고등학생의 응답 빈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성별·수준별로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수준은 다르지 않았다. 셋째, 국어교사와 달리 고등학생은 중요도가 높거나 낮은 문장의 변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 읽기 교육 시 문장 중요도 평정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성별·수준별 지도보다 통합적 지도가 요구된다. 읽기 교육 시 국어교사의 시범을 통해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변별하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and evaluation using sentence importance rating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sentence importance ratings. Methods: After examining the sentence importance ratings by both Korean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ratings were scored based on the teachers' ratings as a standar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entence importance ratings, as well as differences by gender and level, were analyzed using a one sample t-test. Additionally, the response frequencies of Korean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ntenc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entence importance ratings was generally low.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ntence importance rating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or level. Finally, unlike Korean teachers, high school students struggled to differentiate between sentences of high or low importance. Conclusion: The use of sentence importance ratings is required in reading education, and integrated instruction is needed rather than guidance differentiated by gender or level. In reading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direct instruction on distinguishing between important and unimportant in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상현(Sang-Hyeon Hwang),박영민(Young-Min Park). (2024).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 분석. 교원교육, 40 (3), 75-96

MLA

황상현(Sang-Hyeon Hwang),박영민(Young-Min Park).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의 특징 분석." 교원교육, 40.3(2024): 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