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이용수 237
- 영문명
-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Using Topic Modeling: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in Web of Sci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ye Jung Kang Myung Jin Yujin Ha Gun-W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1,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 해외 연구의 주요 이슈와 연구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 2월까지 Web of Science 학술지에 게재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연구 총 4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 건수 추이, 연구 분야, DLA 토픽모델링, 단어네트워크 분석을통해 주요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기별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 논문 건수는 2006년2편을 시작으로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2020년 이후 관련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나타났다.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연구를 주도하는 분야는 사회과학, 의약학, 융복합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민자의 디지털보건 불평등’, ‘코로나19 팬데믹과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이민자의 디지털 교육 불평등’, ‘디지털시대와 이민자 불평등’, ‘이주노동자의 디지털 불평등’5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민자의 디지털 보건 불평등’과 ‘디지털 시대와 이민자 불평등’등 디지털 환경발전의 부작용 및 이민자의생존과 직결된 분야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analyze key issues and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Based on a total of 401 articles on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published in Web of Science registered journals between 2000 and February 2023, the authors identified key research topics. The analysis reveals an increasing number of articles on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starting with two articles in 2006, and showing a sharp increase since 2020. Research areas on the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are led by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al science, medicine,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Five topics were identified through topic modeling and word network analysis: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health’, ‘COVID-19 and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education’, ‘Immigrants’ inequality in the digital age’, and ‘Digital inequality of migrant workers’. It was shown that topics of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health’ and ‘Immigrants’ inequality in the digital age’ have been attracting significant at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 목차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한국과 중국의 감염병 재난관리 정책 정보에 관한 비교
- 대규모 감염병 이후 회복탄력적 역세권 골목상권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모형 기반 업종 다양화 전략
-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및 응원 시뮬레이션
- 수중에서의 무게추 중량과 수심의 상관성 조사
-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역량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조심 기간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테러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체계
-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 국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가격 결정요인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