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이용수 11
- 영문명
- Predi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Using a Numerical Approac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Beobkyun Kim Youngmin Seo Yuseong Lim Byungjoon Lee Yun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1, 101~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4078.jpg)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위 공간예측을 위하여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MODFLOW 모델과 신경망과잔차크리깅을 결합한 NNRK 모델을 적용하였다. MODFLOW 모델의 경우, 관측 지하수위와 예측 지하수위의 차이는 0.014∼4.327m, 상대오차는 0.50∼50.82%로 나타났고 NNRK 모델의 경우, 관측 지하수위와예측 지하수위의 차이는 0.022∼6.185m, 상대오차는 0.66∼49.35%로 분석되었다. MSRE에 기초하여 비공간 통계학적 모델인 IDW는 SK 및 OK 모델보다 우수한 공간예측 결과를 나타냈지만, RK와 NNRK 모델보다는 예측성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용된 MODFLOW 모델과 NNRK 모델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함양량과 지질구조를 고려한 조밀한 지역에서는 MODFLOW 모델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MODFLOW 모델은 NNRK 모델에 비해 지층별 지하수 유동과 양수량에 따른 지하수두의 시간 변동 특성을 효과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he MODFLOW model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NNRK model combining neural network and residual kriging for spatial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in Jeju Island, South Korea. For the MODFLOW model, the differences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groundwater levels were 0.014-4.327 m and the relative errors were 0.50-50.82 %. For the NNRK model, the differences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groundwater levels were 0.022-6.185 m and the relative errors were 0.66-49.35 %. Based on MSRE, IDW model, which is a non-spatial statistical model, showed better spatial prediction results than SK and OK models, whereas RK and NNRK models outperformed the IDW model. The MODFLOW model showed relatively better results than the NNRK model in dense areas considering recharge and geological structure although the MODFLOW and NNRK models produced similar results. Furthermore, the MODFLOW model was found to effectively reflect groundwater flow by strata and temporal groundwater head fluctuations due to pumping compared to the NNRK model.
목차
Ⅰ. 서론
Ⅱ. 모형의 기본 이론
Ⅲ. 분석유역 특성 및 경계조건
Ⅳ. 적용 및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 목차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한국과 중국의 감염병 재난관리 정책 정보에 관한 비교
- 대규모 감염병 이후 회복탄력적 역세권 골목상권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모형 기반 업종 다양화 전략
-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및 응원 시뮬레이션
- 수중에서의 무게추 중량과 수심의 상관성 조사
-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역량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조심 기간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테러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체계
-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 국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가격 결정요인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