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이용수 48
- 영문명
- Impact of Disaster Response Job Demands on COVID-19 Responder Burnou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Euihyun Kwak Suk-Hyun Lee Minyoung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1,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 대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직무 요구의 양적, 질적 특성이 보건소 인력의 심리적 소진에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나아가 재난 대응 인력의 구체적인 소진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코로나19 대응 업무를 수행한 바 있는 전국 17개 보건소, 1167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감염 염려, 실무기간 장기화와 같은 코로나19 대응 특수 요인과 재난 대응 과정에서 일반적으로증가하거나 발생하는 직무 요구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변량 회귀분석 및 문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업무 과다,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등 재난 대응 과정에서 흔히 관찰되는 직무 요구의 증가는대응 인력의 정서적 소진과 냉소를 악화시키는 주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코로나19 특수요인들도 소진 수준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대응 인력의 소진 관리를 위해서는 직무 요구가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전문적인 대체 인력의 마련, 재난 대응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이 요구되며, 특히 대응 인력이 과도하게 여러 업무를 수행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업무 분장을 계획하는 등의 구체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job demands of responding to the COVID-19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 disaster responders. Online survey data from 1163 participants from 17 public health centers across South Korea. Multiple regression and threshol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ubscales of the MBI-GS as dependent variables. Explanatory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e unique factor of responding to a novel infectious disease disaster and another factor of increased general job demands related to disaster respon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que and general job demands differentially affected on the disaster responders’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and sense of professional efficacy.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with burnout differed at the threshold of three to four imposed tasks. Agency managers and policymakers should continue to recruit and train specialized personnel on an ongoing basis, reorganize job assignments, and consider avoiding overburdening a single responder during disaster respon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 목차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한국과 중국의 감염병 재난관리 정책 정보에 관한 비교
- 대규모 감염병 이후 회복탄력적 역세권 골목상권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모형 기반 업종 다양화 전략
-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및 응원 시뮬레이션
- 수중에서의 무게추 중량과 수심의 상관성 조사
-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역량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조심 기간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테러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체계
-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 국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가격 결정요인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