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이용수 149
- 영문명
- A Study on Defense Innovation 4.0 and Welfare Policy Development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fense Manpower Crisi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yo S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1, 149~1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4078.jpg)
국문 초록
군 복지정책은 군 장병들에게 충분한 복지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수호의 강력한 의지의표현이자, 군 복무에 대한 자긍심과 우수자원을 유입하는 기제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장병 개인의자아실현 및 복지추구 욕구의 증대와 병영 환경의 선진화 등을 국격에 걸맞게 획기적인 발전을 요구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며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 복지·시설 분야의 정책은 사회환경에 부합하는 주거여건 보장, 희생과 봉사에 합당한 보수체계 개선, 자긍심과 행복을 보장하는 군인가족 생활연건 보장, 선진복지시설과 인프라구축, 제대군인의 안정적 사회정착 보장 등이다. 특히 MZ세대의 우수한 인재들이 군 조직에 지속적으로유입될 수 있도록 그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과제의 발굴과 더불어 제대이후 안정적인사회정착이 이루어지도록 국가가 책임지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Military welfare policies serve as an expression of the strong will of national protection at the national level by providing sufficient welfare to military personnel, and as a mechanism for introducing pride and excellent resources for military service. Accordingly, it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oldiers' self-realization and welfare, as well as the advancement of the barracks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efense innovation 4.0 and welfare policies in response to the defense manpower crisi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se include ensuring housing conditions in line with the social environment, improving the remuneration system that is appropriate for sacrifice and service, guaranteeing the livelihood of military families that guarantee pride and happiness, building advanced welfare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ensuring the stable social settlement of veterans. In particular,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identify issues that can allow the MZ generation to enter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to ensure a stable social settlement after discharge.
목차
Ⅰ. 서론
Ⅱ. 군 복지정책 환경 분석
Ⅲ. 복지·시설분야 발전방향과 기조
Ⅳ. 군 복지정책의 주요 혁신과제 및 추진 방향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 목차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한국과 중국의 감염병 재난관리 정책 정보에 관한 비교
- 대규모 감염병 이후 회복탄력적 역세권 골목상권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모형 기반 업종 다양화 전략
-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및 응원 시뮬레이션
- 수중에서의 무게추 중량과 수심의 상관성 조사
-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역량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조심 기간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테러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체계
-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 국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가격 결정요인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