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igh-Risk Facilities in Thermal Power Plants Using Delphi/AHP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Dae Soo Kim Hak Joong Kim Don Moo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1, 93~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력발전플랜트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건축물과 기기들로 구성되는 복합형태의 대규모플랜트라 할 수 있으며 석탄취급설비(Coal handing system), 유류저장설비(Oil storage facilities), 보일러설비, 터빈/제네레이터설비, 변전설비, 수처리설비 및 이를 운영하기 위한 부대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한 소방대상물에 대해서는 화재하중 및 화재위험성을 고려한 높은 안전성이 요구된다. 각 공간에적용되는 소방설비 선정은 일차적으로 관련 법규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발전플랜트 운영기관이설치 및 유지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발전플랜트 운영기관은 주요 위험공간별 특성에 따라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소방설비를 유지관리하고 있어 실제적인 화재안전성 확보에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플랜트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Delphi 및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위험공간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주요 위험공간을 화재/폭발 위험시설과 누출/폭발 위험시설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rmal power plants are large-scale plants made up of various types of buildings and equipment to produce electricity and consist of coal handling systems, oil storage facilities, boiler facilities, turbine/generator facilities, substation facilities,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for operating them. For these special fire-fighting objects, high safety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fire load and fire risk. In principle, the selection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pplied to each space is primarily in accordance with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is installed and maintained by the power plant operating institution. However, most power plant operating institutions do not secure safe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dangerous space and maintain fire fighting facilities under the same conditions, which is insufficient to secure actual fire safety. In this study, Delphi and AHP were used to assign weight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dangerous spaces, and major dangerous spaces according to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re/explosion risk facilities and leak/explosion risk fac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AHP 평가결과 분석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 목차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한국과 중국의 감염병 재난관리 정책 정보에 관한 비교
- 대규모 감염병 이후 회복탄력적 역세권 골목상권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모형 기반 업종 다양화 전략
-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및 응원 시뮬레이션
- 수중에서의 무게추 중량과 수심의 상관성 조사
- 지방정부의 재난안전 역량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조심 기간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테러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체계
- 국방인력 위기에 대응한 국방혁신 4.0과 복지정책 발전방향
- 재난 대응 직무 요구와 COVID-19 대응 인력의 번아웃
- 수치해석 접근법에 따른 지하수 공간분포 예측
- 국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가격 결정요인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