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장기능상태의 분류에 따른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Ejection Fraction of Multi Gated Blood Pool Scan and Echocardiograph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이동훈(Dong Hun Lee) 박장원(Jang Won Park) 남기표(Ki Pyo Na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9 No.1, 57~6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We considered the correlation of Ejection Fraction (EF) which was analyzed by Multi Gated Blood Pool Scan (MUGA) and Echocardiography (ECHO) for the patients who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patients (female 60)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were examined by both MUGA and ECHO. The 30 patients (age: 58.27±13.48) who were analyzed into less than 50% to 70% of EF were categorized as normal group and the other 30 patients (age: 53.70±8.45) who were analyzed into less than 50% of EF were categorized as abnormal group.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ver. 18 was applied. Results Each of the valu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group was 66.43± 5.80 (MUGA), 60.50±4.93 (ECH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Each of the valu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bnormal group was 41.93±7.58 (MUGA), 41.70±11.49 (ECH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the result, all 30 cases of normal group showed the same reading. 8 out of 30 cases in abnormal group showed inconsistency of the reading.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e correlation of the EF in MUGA and ECHO statistically.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abnormal groups from the result of reading. If we are aware of the result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rdiac function categorization, MUGA and ECHO can be used as even more accurate interchangeable test.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에서 선량변화와 QAC기법 적용 시 Metal Artifact 유무에 따른 SUV 비교분석
-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C[11]-PIB imaging 영상분석
- 18F-FDG Brain PET/CT 검사를 위한 데이터 비교 방법의 평가
- Micro Deluxe Phantom을 통한 핀홀 콜리메이터 초점의 직경별 분해능 평가
- DIACON 정도관리물질의 평가
- 전신 뼈검사에서의 영상 평가 연구
- PET 검사실 종사자의 업무 행위 별 방사선피폭 조사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화를 위한 연구
- 심장기능상태의 분류에 따른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 Dynamic study를 이용한 선조체에서의 ¹⁸F-DOPA의 분포에 대한 평가
- 혈중 Estradiol 농도 측정을 위한 여러 방사면역측정 검사키트 및 화학면역발광 검사법의 성능평가 및 상호비교
- ⁹⁹ᵐTc-DMSA 검사에서 상대 신섭취율 산출 시 양면상 촬영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핵의학 갑상샘 팬텀 영상에서 보간법이 초고분해능 ResNet 모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내 Pb-214, Bi-214 화학 분리를 통한 핵종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