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메타인지 전략, 그릿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grit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례(Dongre Kim) 김효원(Hyowon Ki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1호, 103~1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으로 거론되는 디지털 역량과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S대학의 유아교육 전공 1~4학년 학생 150명으로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메타인지 전략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정적인 영향을, 그릿은 메타인지 전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직접효과, 메타인지 전략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ntegrated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lation to digital competencies, which are mentioned as the co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spond to future social change.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measuring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among 150 first- to fourth-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S University in Gwangju.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quation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valid. Second, technology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and gr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echnology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s on digital literacy and an indirect effect mediated metacognitive strategy. Through thi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